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침묵 끝의 한 방

등록 2007-10-11 17:48수정 2007-10-11 17:52

탁현민/ 한양대 문화콘텐츠전공 겸임교수
탁현민/ 한양대 문화콘텐츠전공 겸임교수
[매거진 Esc] 탁현민의 말달리자
말 잘하는 사람은 결코 많은 말을 하지 않는다. 말을 잘 못하는 사람일수록 되도 않은 말을 끝없이 늘어놓는다. 미팅 자리에서 현란한 개인기와 대포동급 ‘말발’로 무장한 친구보다는 묵묵히 앉아 부드러운 웃음만 짓던 ‘넘’이 퀸카를 차지하게 될 확률이 언제나 높았다. ‘잘생기고 멋진 남자보다는 재미있는 남자가 좋아요’라고 살포시 말씀하시던 그네가 결국 그 잘생기고 멋지기만 한 ‘넘’에 확 꽂혀 버리시는 모습도 적잖게 보아온 ‘시추에이션’이다. 하지만 그게 다만 외모와 분위기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그저 잘생기고 묵묵하기만 한 줄 알았던 그 ‘넘’들이 가지고 있던 공통점이 있었으니, 적재적소 한 방씩 날려주는 카운터펀치 같은 단어와 문장들이었다. 무게감 있는 자태와 수려한 외모. 여기에 정확한 포인트를 짚어내는 한마디야말로 그들이 미인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이었다.

그러니 말을 잘하자면, 말수나 대화의 시간을 늘리는 것보다 제대로 한 말씀 날려주는 것. 곧 짧고 굵게 말하는 법을 아는 것이다. 짧고 굵게 말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덕목은 역설적이게도 입을 닫는 것이다. 말을 잘하려면 일단 입을 닫고 상대의 말과 분위기를 잘 살펴야 한다. 그 다음은 타이밍이다. 야구선수가 공을 끝까지 보는 이유는 딱히 쳐다볼 곳이 없어서가 아니라 언제 쳐내야 될지를 가늠하기 위해서 아닌가?

상대의 말과 분위기를 주의 깊게 살펴보다가 입을 열어야 할 시점에서 분명하고 정확하게 말해야 한다. 그리고 마무리다. 마무리는 말과 함께 과감한(?) 행동이 결합해야 한다. 말 많은 사람이 비호감인 이유는 그게 말뿐이기 때문이고 말 잘하는 사람한테 호감이 가는 까닭은 단지 말만 번지르르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소개팅 자리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나 돈 많다’라고 급호감의 멘트를 날렸다면 마무리는 당연히 비싼 찻값을 내는 과감한 행동! 그게 필요하다.

탁현민 한양대 문화콘텐츠전공 겸임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