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매운 맛 좀 볼래?

등록 2017-02-15 19:39수정 2017-02-15 20:37

[ESC] 오은의 오손도손
힘을 과시하거나 칭찬받고 싶어 놀리던 손
’슬쩍’ 친 손맛이 누군가에게는 매운 맛이 되기도 한다. 박미향 기자
’슬쩍’ 친 손맛이 누군가에게는 매운 맛이 되기도 한다. 박미향 기자
“너는 손이 참 맵다. 아직도 등이 얼얼해.” 초등학교 시절 내 무수한 별명 중 하나가 바로 ‘매의 손’이었다. 정확하고 예리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매의 눈’과는 달리, 매의 손은 순전히 손이 맵다는 이유로 생긴 별명이었다. 친구한테 무슨 이야기를 듣고 “아, 정말?” 하고 반문하며 친구의 등에 슬쩍 손을 가져다 댄 날이었다. 결과적으로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 정말 놀랍다!’라는 나의 마음은 잘못 전달되었다. 친구는 인상을 찌푸리고 한참 동안 몸을 배배 꼬았다. 나의 ‘슬쩍’은 친구에게 ‘번쩍’으로 다가간 셈이었다.

나의 손이 가진 위력을 깨달았던 날, 밤늦게까지 내 손을 들여다보았다. “손이 맵다”라는 말을 처음 들었는데 그 말이 어떤 뜻인지 단박에 파악했다는 것도 놀라웠다. 처음으로 청양고추를 먹고 입안뿐만 아니라 온몸이 얼얼했을 때, 한겨울 칼바람이 가슴팍을 파고들며 나를 가격했을 때, 아궁이에 군불을 지피던 할아버지 옆에서 무방비 상태로 연기를 들이마셨을 때, 나는 그것이 무척 맵다고 생각했었다. 손이 맵다는 것도 아마 얼얼함과 싸늘함과 사나움을 모두 품고 있는 뜻이리라.

한동안 나는 매의 손을 함부로 놀렸다. 친구가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면 가차 없이 매의 손을 들었다. 친구가 오만상을 지으며 온몸으로 매움을 견딜 때 득의양양하게 웃기도 했다. 당시의 나는 매운 손을 가졌다는 사실을 어떤 힘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언젠가부터 친구들은 내 손이 올라갈 때마다 움찔움찔했다. 혹시라도 자기 등 뒤로 그것이 날아올까 봐 걱정하는 것이 눈에 보였다. 기지개를 켤 때, 악수를 하려고 손을 내밀 때, 어깨동무를 하려고 손을 들 때 멈칫하는 것을 보면 그렇게 즐거울 수가 없었다.

어느 날, 광주에서 한 친구가 전학을 왔다. 사는 집이 가까운데다가 좋아하는 것도 비슷해서 자주 어울리게 되었다. 셜록 홈스를 함께 읽으며 탐정이 되기를 꿈꾸었고 배드민턴을 치며 셔틀콕이 되어 하늘을 나는 기분은 과연 어떨지 이야기했다. 마음이 잘 통한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구나 생각하기도 했다. “아, 정말?” 어떤 이야기를 하다 친구가 반문하며 내 등에 손을 가져다 대었다. 나는 “악!” 하고 소리를 지르며 몸을 비비 틀었다. 정말이지 두 눈이 튀어나올 것만 같았다. 아프고 매웠다. 재야의 ‘매의 손’을 난생처음 마주한 기분이었다.

그건 어쩌면 어떤 순간을
허투루 지나치지 않는다는 뜻
적극적으로 개입하겠다는 뜻
백지 위에서 가장 위력적인 말

그날 이후로 나는 매의 손을 더 이상 휘두르지 않게 되었다. 손으로 흥한 자는 손으로 망한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게 되었던 것도 같다. 손맛을 단단히 본 뒤에야 비로소 손을 뒤로 숨길 줄 알게 되었다. 십여 년 전쯤 초등학교 친구를 오랜만에 만났다. 내가 등에 자주 손을 가져다 대던 친구였다. 그 친구는 그때의 일들을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네 손, 진짜 매웠지. 몇 시간이 지나도 등이 여전히 벌겋더라고.” “아, 정말?” 내 손에 아직 매운 맛이 남아 있을지 궁금해서 오랜만에 친구의 등에 손을 가져다 댔다. 정말이지 몹쓸 호기심이었다. “으악!” 단말마에 가까운 비명 소리가 들려왔다. 손이 매운 것은 타고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은이는 손이 맵구나.” 첫 직장에 다닐 때 부장님으로부터도 손이 맵다는 얘기를 들었다. 나는 화들짝 놀라 부장님을 빤히 쳐다보았다. 나도 모르는 사이, 부장님에게 매의 손을 들킨 것 같아 얼굴이 붉게 달아올랐다. 내가 쓴 보고서를 보고 부장님께서 하신 말씀이었다. “손이 맵다”가 가진 두 번째 뜻을 그제야 알게 되었다. 일하는 것이 빈틈없고 매우 야무질 때도 “손이 맵다”라는 표현을 쓰다니! 손이 맵다는 사실이 그렇게 든든할 수가 없었다. 일을 야무지게 처리할 수만 있다면, 매운 손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았다.

손이 매운 것은 타고나는 것이면서 꾸준히 다듬고 연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기도 했다. 손끝이 맵고 손때가 매운 것은 확실히 타고나는 것이지만, 어떤 일을 빈틈없이 해내려면 내내 긴장을 유지해야 했다. 딴생각을 하다 보면 매운 손은 금세 맥이 빠지거나 순식간에 야무짐을 잃고 말았다. 손이 매운 상태를 유지하려면 무엇보다 집중력이 필요했다. 일의 처음부터 끝까지 나를 중심에 두지 않으면 안 되었다. 손이 매워지는 대신, 일상이 싱거워지는 때가 많았다. 긴장이 풀리면 기다렸다는 듯 몸살이 찾아왔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나는 매운 것을 더 많이 찾게 되었다. 매운 손을 유지하는 데 매운 것이 도움이 되는지는 모르지만 확실히 먹을 때만큼은 기분이 좋았다. 매운 것은 왜 죄다 빨간 것일까 생각하며 추위에 벌게진 두 손을 호호 불며 집에 돌아오는 일이 많았다. 속이 종종 쓰렸고 등이 욱신욱신하기도 했다. 전학 온 친구가 내 등에 손을 가져다 대었을 때의 느낌이 불쑥불쑥 고개를 들었다. 그때마다 정신이 확 들었다. 도리질을 치고 다시 자리에 앉았다. 매운 손이 그렇게 초라해 보일 수가 없었다.

손이 매워지면 매워질수록 나도 모르게 주변에 소홀하게 되었다. 손이 매워진 만큼, 사람에게 매서워지는 것 같았다. 웃는 나와 친절한 나, 재기 발랄한 나는 점점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멀티태스킹은 사람이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일에 깊숙이 빠져 있다 보니, 더 완벽하게 일을 수행하려고 정신을 벼리다 보니 역설적으로 나 자신은 점점 희미해져갔다. 집에 돌아올 때에는 늘 ‘매운 것’을 다 소진해버린 사람처럼 힘이 없었다. 매운 김치가 어느 날 갑자기 시금시금하게 쉬어버리듯이, 온 힘을 다해 매운 손을 유지하고자 했지만 내 몸은 생기를 잃고 있었다.

실은 시를 쓸 때 가장 손이 매워야 하는데 어느 날부터인가 단어들이 자꾸 도망가는 느낌이 들었다. 맑고 투명한 단어들은 매운 손에서 스르르 미끄러졌다. 공교롭게도 그때 “손이 맵다”가 지닌 세 번째 뜻을 알게 되었다. 가축, 날짐승, 식물 따위를 거둔 결과가 다른 사람에 비하여 늘 좋지 아니한 경우를 이를 때도 “손이 맵다”라는 표현을 쓴다고 했다. “그는 손이 매워서 키우는 식물들을 번번이 죽이고 말았다”와 같은 문장에서 손이 맵다는 사실은 그 예의 야무짐과 정반대에 있는 것이었다. 이렇듯 손이 매우면 손길을 받는 대상에게 부담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처음에 손이 맵다는 사실을 알게 된 건 우연이었다. 그것을 함부로 놀리던 때도 있었다. 손이 맵다는 것이 칭찬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속에 매운 것을 허겁지겁 욱여넣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다 매운 손에 스스로 손이 묶여 일을 그르치기도 했다.

두 손을 가만히 내려다보며 ‘슬쩍’이 ‘번쩍’이 되던 순간을 떠올린다. 손이 맵다는 것은 어쩌면 어떤 순간을 허투루 지나치지 않는다는 뜻일 것이다. 순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겠다는 뜻일 것이다. 마른하늘에 날벼락 치듯이,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이. 매운 손은 어쩌면 그 순간들이 담길 백지 위에서 가장 위력적일 것이다.

오은 시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