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돈 관리 시작은 이렇게

등록 2017-08-02 19:46수정 2017-08-02 20:00

[ESC] 생활력기술백서

벌고 싶을 때 벌 만큼 벌고, 쓰고 싶을 때 쓸 만큼 쓰는 게 마음대로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마는, 내일은 막막하고 마음은 불안한 대다수 사람들에게 돈은 항상 고민의 큰 지분을 차지하는 문제다. 벌고 싶은 만큼 벌기도 힘들고, 쓰고 싶을 만큼 쓰기도 힘들다. 기왕에 맘먹고 쓸 때조차 찜찜함이 젖은 휴지처럼 들러붙는다. 대체 왜 돈 관리는 항상 이리 어려운 걸까?

경제교육협동조합 ‘푸른 살림’의 박미정 대표코치는 돈 관리 코칭이 필요한 이들 가운데 돈 불감증이 있는 사람이 많다고 전한다. 힘들게 일하는데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돈은 중요하지 않다’, ‘돈은 또 벌 수 있어’라며 애써 폄하하고 함부로 쓰게 된다는 것이다. 돈 문제에서 버는 것은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운 요소이므로,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건 소비의 영역이다. 포인트는 무조건 아껴 쓰는 게 아니라고 박미정 코치는 강조한다. 불안에 떨지 않으면서 오늘 행복할 수 있는 균형을 찾아 ‘잘’ 쓰는 게 핵심이다.

그 첫걸음은 자기 욕망을 수용하는 것이다. 어디다 어떻게 돈을 쓰고 있는지 솔직하게 항목들을 직시하는 한편, 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데 일단 돈을 써본다. 원하는 데 돈을 써서 행복했다면 그 항목은 진짜 내 욕망이니 받아들인다. 원하는 데 썼는데도 찝찝함이 남는다면, 왜 그런 기분이 드는지 계속해서 자문한다. 그렇게 필터링을 해 나가다보면 우러나는 진짜 내 욕망과 외부로부터 주입된 가짜 욕망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다음, 결핍을 직접 경험해본다. 항목을 정해서 그냥 지출을 안 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내 욕망의 강도, 치를 수 있는 비용의 한계를 파악할 수 있다. 한 달을 해보니 죽을 것같이 힘들다 싶으면 지출을 재개한다. 반면 끊고도 큰 지장이 없다면, 한 달을 두 달로, 두 달을 석 달로 쭉 이어나간다.

끝으로, 이제 내 주관적인 기준에 입각한 생활경제 질서를 정립한다. 앞서의 두 단계를 통해 알게 된 나만의 우선순위에 따라 내게 중요한 데 지출을 할애하고, 중요하지 않은 데 지출을 끊는다. 배우자가 있다면 서로의 우선순위 간 교집합을 찾아나간다. 이 과정을 통해 균형 잡힌 소비 습관을 가지게 된다면 불안을 다스리는 돈 관리의 기술은 성공이라 할 수 있겠다.

이유미 기술감독(팟캐스트 일상기술연구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