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N잡의 기술

등록 2017-11-23 10:07수정 2017-11-23 10:14

생활력기술백서
드라마 <직장의 신>의 한 장면. 화면 갈무리
드라마 <직장의 신>의 한 장면. 화면 갈무리
2012년 <포브스> 칼럼에서 라리사 포는 밀레니얼 세대의 ‘멀티커리어이즘’(multi-careerism) 현상을 소개했다. “(밀레니얼 세대는) 그저 1루수이거나 좌익수이거나 하지 않아요. 그들은 ‘운동선수’죠. 그들의 외장하드는 한 번에 여러 일을 할 수 있게끔 어디에든 연결될 수 있어요.” 비아콤의 혁신사업부 로스 마틴의 말이다. 그 후로 1일 8시간 주5일 근무체제의 밖에서 일하는 사람은 점점 늘어났다. 우리나라에서는 ‘엔(N)잡러’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주3일은 온라인 민주주의 스타트업 ‘빠띠’에서, 주2일은 조직문화를 연구하는 ‘진저티 프로젝트’에서 일하는 홍진아(34)는 자신처럼 적극적으로 둘 이상의 소속을 추구하며 다양한 방식과 역할로 일하는 이들을 ‘엔잡러’라고 칭한다. 일은 가장 먼저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겠지만, 행복하게 일하는 데에는 그 이상이 필요하다. 일하는 사람에게는 다양한 욕망과 능력이 있다. 하나의 일자리가 모든 것을 해소해줄 수 없다면, 스스로 일들의 조합을 만들어내 자신의 직업을 창조하려는 이들이 엔잡러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얼마 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는 브리아나 카자가 이끄는 연구진의 글이 실렸다. 5년 이상 복수의 직업을 가지고 일해온 사람 48명을 인터뷰해 쓴 글이다. 연구진은 이들이 겪는 어려움이 대부분 멀티태스킹에 따르는 물리적 문제에서 올 것이라고 상상했다고 한다. 그러나 인터뷰 결과, 대부분이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진정성’(authenticity)의 문제였다. ‘정체성의 혼란’, 즉 진짜 내가 누군지 모르겠다는 감각에 끊임없이 시달린다는 이야기다.

글은 이 문제를 위한 조언을 내놓는데, 그중 하나는 이렇다. “자신을 여러 정체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받아들여라.” 사람들은 흔히 일관성이 진정성의 표식이라고 생각하지만, 늘 한 가지 모습이어야 진정한 것은 아니다. 인간에겐 여러 측면이 있다. 복수의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여러 측면에 빛을 드리워 다양한 성향과 능력을 발현시키는 일일 수 있다. 자신을 하나의 고정된 주체로 상정하고, 거기에 딱 맞는 하나의 직업을 찾으라는 게 여태껏 세상의 보편적인 조언이었기 때문에 엔잡러는 “대체 나는 누구인가”에 명료하게 답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린다. 그러나 엔잡러에게 필요한 것은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게 아니라, 오히려 복수의 역할을 오가는 와중에도 일상의 리듬을 구축하고 안정된 생활의 기반을 확보하는 구체적인 기술이다. 개인 혼자서 온전히 갖출 수 없는 기술이기도 하다. 엔잡러로 자칭하는 이들의 목소리가 더 많이 들려야 하는 이유다.

제현주(일상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