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로켓 발사 예고 직후 정부의 첫 반응은 ‘혹독한 대가’ 경고였다. 황교안 국무총리와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국가안보실 1차장),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등의 일관된 표현이다. ‘혹독한 대가’는 뭘까?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는 이미 꺼내 썼다. 핵실험 직후 개성...
북한이 예고한 대로 8~25일 ‘지구관측위성 광명성’을 쏘아올릴 로켓 발사 준비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4일 “북한의 오판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강력한 유엔 제재를 통해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국제사회가 깨닫게 만들어야 한다”며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
중국 외교부가 “북한이 기어코 위성을 발사하려 한다면 (중국은) 제지할 수 없다”고 밝혀 발언 배경이 관심을 끌고 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국가들이 갈등을 끌어올리는 것에 반대한다면서도 이렇게 밝혔다. 이는 북한의 로켓 발사가 ‘택일’ 단계에 접어든 상황에서 중국의 영향력에...
북한이 인공위성을 탑재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관련 국제기구에 2일 통보한 것은 새로운 도발이다. 지난달 6일 전격적인 핵실험 이후 대북 제재를 논의하는 국제사회에 정면으로 맞서겠다는 막무가내식 행보이기도 하다. 북한은 사태를 더 악화시킬 것이 분명한 장거리 로켓 도발을 즉각 중단해야 마땅하다. ...
‘지구관측 위성 광명성’을 발사하겠다는 북한의 움직임이 과거와 다르다. 지금껏 북한은 예고 담화와 국제기구 통보를 거쳐 로켓을 발사한 뒤 이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가 내려지면 핵실험을 하는 순서를 밟아왔다. 그런데 이번엔 지난달 6일 4차 핵실험이 먼저 이뤄졌다. 핵실험 때도 과거와 달리 ...
북한은 로켓 발사가 과학기술 목적의 인공위성 확보용임을 일관되게 강조해왔다. 그러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로켓 발사에 탄도미사일 기술이 쓰인다며 대북 제재 결의 위반이라고 판단해왔다. 북한은 이번엔 로켓 발사 계획을 국제해사기구(IMO)·국제전기통신연합(ITU)·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미리 통보...
북한이 2일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한 사실이 전해진 뒤 관련국들은 이를 비난하며 발사 자제를 촉구했다. 일본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아베 신조 총리는 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북한의 이번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실제 탄도미사일의 발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규정한 뒤 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