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환수위, 이번엔 ‘왕실의궤’ 찾으러 나선다

등록 2006-07-26 18:28수정 2006-07-26 18:53

보인소의궤  그림 (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
보인소의궤 그림 (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
일본 궁내청 ‘왕실의궤’ 44종 86책 소장 밝혀져
명성황후 장례절차·조선 옥새제작 기록 담긴 국보급
조선왕조실록환수위원회(환수위)가 이번엔 ‘조선왕실의궤’ 찾으러 나섰다. 환수위 간사 혜문 스님은 26일 “도쿄대에 소장되었던 조선왕조실록의 약탈 경위를 밝히는 과정에서 오대산 사고에 함께 소장되었던 왕실의궤의 행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의궤는 명성황후의 장례절차와 조선왕조의 옥새 제작기록이 담겨 있는 국보급 문화재로 알려졌다.

스님은 “1909년 궁내부에서 조사한 <오대산사고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오대산 사고에는 왕실의궤 380책이 보관되어 있었다” 며 “실록 반환운동 과정에서 다른 문서들의 행방도 같이 조사하던 중, 일본 궁내청 서릉부 황실도서관에 ‘명성황후 국상도감의궤’,‘보인소의궤’등 44종 86책 소장되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보인소의궤  ‘대조선국 주상지보’ 국새 인형 (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
보인소의궤 ‘대조선국 주상지보’ 국새 인형 (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
스님은 의궤가 “다이쇼 11년(1922) 조선총독부의 기증에 의해 일본 궁내청에 소장된 것이며, 이런 사실은 2001년 해외전적문화재연구회(회장 천혜봉 당시 성균관대 교수)에서 직접 조사해 이미 학계와 정부가 알고 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스님은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이나 이토 히로부미의 규장각도서 대출처럼 학계와 정부가 뻔히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태껏 손 놓고 있는 모양새가 똑같다”며 “지난 6월1일 ‘조선왕조실록되찾기 의원모임 간사 강혜숙 의원실을 통해 일본 궁내청에 사실확인서를 보냈고, 조만간 반환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스님은 의궤의반환 가능성에 대해 “실록반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왕실의궤의 반환은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었겠지만, 서울대가 기증받는 바람에 다시 원점에서 출발해야하는 상황”이라며 “오랜 시일이 걸리더라도 최선을 다해 반환운동을 전개할 것 ”이라고 말했다. 환수위는 실록반환의 행사가 마무리 되는대로, 8월 중순 기자회견을 열어 출범식을 가질 예정이다.

해외전적조사연구회가 ‘조선왕실의궤‘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 대정11년 5월 조선총독부가 기증했다는 사실이 적혀 있다. (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
해외전적조사연구회가 ‘조선왕실의궤‘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 대정11년 5월 조선총독부가 기증했다는 사실이 적혀 있다. (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


왕실의궤란?

조선 왕실 의궤는 왕실의 주요 의식과 행사의 준비과정, 행정처리 등 따위를 상세하게 적은 기록이다. 왕실은 의례행사를 진행하면서 기록으로 남겨어 비용을 아끼고 혼선을 막고자 의궤를 제작해왔다. 다른 나라는 의례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록이 없어 , 조선왕실의궤는 조선시대 최고의 기록문화로 꼽힌다. 정부는 지난 3월 유네스코에 '조선왕실의궤'를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해달라는 신청을 했다.

국상도감의궤란 ?

국상도감 의궤는 명성황후가 일본인들의 손에 의해서 시해당한 뒤, 2년2개월간에 걸쳐 일어난 국상에 대한 기록이다. 이 의궤는 조선시대 제작된 국장도감의궤중 가장 길다

보인소 의궤란?

조선 고종 13년(1876) 11월4일, 경복궁 교태전 화재로 인해 소실된 보인을 다시 제작한 기록을 담은 의궤. 그 해 12월 27일까지 각종 보인 11과가 제조돼 고종에게 헌상됐다. 이 때 만든 보인은 다음과 같다.

▲대보(大寶) ▲시명지보(施命之寶) ▲유서지보(諭書之寶) ▲세자궁옥인(世子宮玉印) ▲조선왕보(朝鮮王寶) ▲대조선국주상지보(大朝鮮國主上之寶) ▲소신지보(昭信之寶) ▲이덕보(以德寶) ▲과거지보(科擧之寶) ▲선사지기(宣賜之記) ▲무위소(武衛所)

〈보인소의궤〉가 특히 중요한 것은 조선시대 국왕(왕실)과 관련된 보인 제작 전통을 엿보게 하는 거의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종류의 보인이 제조됐으며, 거기에 들어간 재료는 무엇이었는지 등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보인소의궤〉에만 남아 있다

자료제공 : 조선왕조실록환수위원회

〈한겨레〉온라인뉴스팀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