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카터 전 미국대통령. 한겨레 자료사진
〈LA타임스〉 기고 통해 이스라엘 정책 날선 비판
미국서 유대인·이스라엘 비판 금기 깨 주목
미국서 유대인·이스라엘 비판 금기 깨 주목
미국에서 유대인과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은 금기사항이다. 내용의 타당성을 떠나 당장 ‘반유대주의자’로 낙인이 찍히고, 비판한 사람이 유력한 인물이라면 사회에서 거의 매장되다시피 한다.
지난 3월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대 교수와 스티브 월트 하버드대 교수가 ‘이스라엘의 로비와 미국의 대외정책’이란 논문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이 이스라엘 정부와 유대인의 로비에 종속되고 있다고 비판해 엄청난 파문과 논란이 일어난 바 있다. 인터넷과 언론에는 이들이 ‘반유대주의’라는 비난이 끊이지 않았다. 학술논문에 대해서 이 정도이니 정치인들이 이스라엘과 유대인을 비판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런데 미국의 전직 대통령이 미국 내 유대인들의 로비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일자 미국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해 솔직히 말하라’라는 글을 통해 “이스라엘 정부의 정책들에 대한 비판을 꺼려하는 것은 미국-이스라엘정치행동위원회의 비정상적인 로비 행태와 이에 반대되는 어떠한 목소리도 없기 때문이다”고 비판했다. [카터 대통령 기고 번역 전문]
그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을 위한 평화의 길을 놓고 많은 논쟁적인 이슈들이 이스라엘인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국가들에서 치열하게 토론되고 있으나 미국에서는 그렇지 않다”며 “지난 30년동안 나는 사실에 대한 자유롭고 균형적인 토론을 심각하게 억누르는 것을 목격하고 경험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중동평화 협상 경험과 이에 바탕해 지난달 자신이 출간한 <팔레스타인:평화가 아닌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저서의 홍보과정에서 겪은 반응을 통해 이같은 비판을 제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균형된 입장을 취해 이스라엘의 국제법 준수를 제안하고, 정의를 수호하고,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해야 할” 의회 의원들 중에서 팔레스타인 도시들을 방문해 포위당한 주민들과 얘기할 의도를 가진 의원들은 거의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미국의 주요 신문과 잡지들의 의견란이 (이스라엘 문제에 대해) 그와 유사한 자기검열을 시행하며, ‘홀리랜드’(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파견된 특파원들이 강력하게 표출하는 개인적 평가와는 반대되는 의견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출간된 자신의 저서와 관련해 케이블텔레비전 등에서 흥미로운 인터뷰를 했으나, 주요 신문들에서는 자신의 책에 대해 거의 새로운 얘기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주요 언론의 서평은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를 방문하지 않는 유대인단체의 대표들에 의해 거의 쓰여졌으며, 그들의 주된 비판은 그 책이 반이스라엘이라는 것”이라고 카터 전 대통령은 논평했다. 그는 특히 “차기 하원의장인 낸시 펠로시가 그 책이 출간되기 전에 ‘그(카터)는 이스라엘에 관해 민주당의 입장에서 말하지 않고 있다”는 논평을 냈다”는 사례도 상기시켰다.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에 올라온 일부 서평들은 자신을 “반유대주의”라고 지칭했고, 다른 평은 그 책이 거짓말과 왜곡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고 카터는 아쉬워했다. 카터는 특히 “가장 곤혹스런 경험은 유대인 학생들이 많은 대학의 캠퍼스에서 그 책에 관해 자유롭게 말하고, 학생과 교수들의 질문에 대답하려는 나의 제안이 거절된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그러나 카터는 현실에서 반응은 압도적으로 긍정적이었다며 책 서명회 장소에서마다 1천명 이상의 독자를 만났다고 기뻐했다. 또 유명한 유대인들과 의원들이 자신에게 새로운 사실과 아이디어를 전해줬다며 개인적으로 감사해 한 것에 고무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현재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사는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를 분리하고 봉쇄하는 이스라엘의 조처를 겨냥해 “엄청난 감옥의 벽이 현재 공사중이다”며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남아공에서 흑인들이 살았던 것보다 더 억압적인 것이다”고 이스라엘의 정책을 강력히 비난했다. 정의길 기자 Egil@hani.co.kr
그는 출간된 자신의 저서와 관련해 케이블텔레비전 등에서 흥미로운 인터뷰를 했으나, 주요 신문들에서는 자신의 책에 대해 거의 새로운 얘기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주요 언론의 서평은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를 방문하지 않는 유대인단체의 대표들에 의해 거의 쓰여졌으며, 그들의 주된 비판은 그 책이 반이스라엘이라는 것”이라고 카터 전 대통령은 논평했다. 그는 특히 “차기 하원의장인 낸시 펠로시가 그 책이 출간되기 전에 ‘그(카터)는 이스라엘에 관해 민주당의 입장에서 말하지 않고 있다”는 논평을 냈다”는 사례도 상기시켰다.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에 올라온 일부 서평들은 자신을 “반유대주의”라고 지칭했고, 다른 평은 그 책이 거짓말과 왜곡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고 카터는 아쉬워했다. 카터는 특히 “가장 곤혹스런 경험은 유대인 학생들이 많은 대학의 캠퍼스에서 그 책에 관해 자유롭게 말하고, 학생과 교수들의 질문에 대답하려는 나의 제안이 거절된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그러나 카터는 현실에서 반응은 압도적으로 긍정적이었다며 책 서명회 장소에서마다 1천명 이상의 독자를 만났다고 기뻐했다. 또 유명한 유대인들과 의원들이 자신에게 새로운 사실과 아이디어를 전해줬다며 개인적으로 감사해 한 것에 고무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현재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사는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를 분리하고 봉쇄하는 이스라엘의 조처를 겨냥해 “엄청난 감옥의 벽이 현재 공사중이다”며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남아공에서 흑인들이 살았던 것보다 더 억압적인 것이다”고 이스라엘의 정책을 강력히 비난했다. 정의길 기자 Egil@hani.co.kr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