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맨 앞) 열린우리당 전 의장이 3일 오후 김덕규(왼쪽)·이용희 의원과 함께 당의 새 지도체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 원로·중진 의원 회의가 열리는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김혁규·조배숙 최고위원 사퇴…비대위 체제로
김 최고위원 “질서있게 새길 나아가도록 도울것”
당내 일각 “부적절” 비판여론…‘비토론’도 적잖아
김 최고위원 “질서있게 새길 나아가도록 도울것”
당내 일각 “부적절” 비판여론…‘비토론’도 적잖아
열린우리당이 5·31 지방선거 참패 이후의 새 ‘구심점’ 마련을 놓고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김근태 최고위원이 당의 새 리더인 비상대책기구 의장을 맡는 방안이 큰 흐름을 형성하는 모양새지만 ‘김근태 비토론’도 적지 않은 상황이어서, ‘김근태 체제’로 쉽게 결론날 것으로 장담하기 어려워 보인다.
김 최고위원은 4일 김혁규·조배숙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한 이후 곧바로 성명을 내어 “눈앞의 혼란을 방치하기보다 당이 질서 있게 새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진정으로 책임지는 일이고, 그것이 설사 독배를 마시는 일이 되더라도 피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안에선 김근태 최고위원의 ‘독배를 피하지 않겠다’는 발언이 비상대책기구 의장을 맡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이호웅·이인영·우원식 의원 등 재야파 의원들과 긴급 모임을 열어 이런 뜻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열린우리당은 오는 7일 최고위원회의와 중앙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를 열어 비상대책기구 인선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김 최고위원의 비상대책기구 의장 취임은 당내 최대 계파의 수장인 정동영 전 의장이 지난 1일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며 “김근태 최고위원 중심의 질서 있는 퇴각”을 당부했다는 점에서 후임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불거질 계파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지난 3일 여당 중진 의원들이 모여 ‘김 최고위원의 의장직 승계’를 결정하고, 당내 상당수 세력이 ‘김근태 중심의 수습론’에 공감하는 것도 그의 비상대책기구 의장 수임 가능성을 높여준다. 열린우리당 핵심 당직자는 “정동영계는 물론 당내 주요 세력 대다수가 현재 당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은 김근태 최고위원뿐이라는 데 공감하는 분위기”라며 “큰 변화가 없는 한 7일 연석회에서 김 최고위원 중심의 비대위 체제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도부 전체가 5·31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마당에 지도부의 한 사람인 김근태 최고위원이 비상대책기구 의장직을 맡는 게 부적절하다는 비판론과 재야파의 좌장 격인 김 최고위원에 대한 당내 보수성향 의원들의 거부정서도 남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날 김혁규·조배숙 최고위원이 정동영 전 의장과 당내 원로 중진들의 ‘김근태 당의장 승계론’을 거부하고 사퇴를 강행한 것도 이런 정서와 무관하지 않다. 두 최고위원은 사퇴회견에서 “임시지도체제를 통해 원점에서 당이 나갈 방향을 찾아야 한다”며 김근태 승계론의 부당성을 지적했다. 특히 김혁규 최고위원은 “지도부 총사퇴 주장이 특정인에 대한 비토는 아니다”라면서도, “김근태 최고위원이 현재의 당을 이끌어 가기는 대단히 어렵지 않은가 생각한다”고 거부감을 드러냈다.
열린우리당의 보수성향 의원 8명도 지난 3일 밤 모임을 열어 “현재의 당 상황을 볼 때 김근태 의원이 의장을 맡아도 당이 식물상태로 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며 ‘김근태 반대’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는 김 최고위원의 이념 성향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나왔다고 한다. 결국 7일 열릴 최고위원회의와 중앙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이들이 김근태 비상대책기구 의장 추대에 강하게 제동을 걸고 나올 경우 뜻밖의 혼돈이 빚어질 수도 있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당 일각에서는 원로인 김원기 국회의장, 조세형 상임고문, 문희상 의원 등을 비상대책기구 의장으로 세우는 대안이 거론되기도 한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김두관(오른쪽) 열린우리당 최고위원이 4일 서울 영등포동 당사 기자회견을 열어 5·31 지방선거 직전 ‘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을 주장한 정동영 당시 의장의 퇴진을 요구한 것에 대해 사과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김 최고위원의 비상대책기구 의장 취임은 당내 최대 계파의 수장인 정동영 전 의장이 지난 1일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며 “김근태 최고위원 중심의 질서 있는 퇴각”을 당부했다는 점에서 후임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불거질 계파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지난 3일 여당 중진 의원들이 모여 ‘김 최고위원의 의장직 승계’를 결정하고, 당내 상당수 세력이 ‘김근태 중심의 수습론’에 공감하는 것도 그의 비상대책기구 의장 수임 가능성을 높여준다. 열린우리당 핵심 당직자는 “정동영계는 물론 당내 주요 세력 대다수가 현재 당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은 김근태 최고위원뿐이라는 데 공감하는 분위기”라며 “큰 변화가 없는 한 7일 연석회에서 김 최고위원 중심의 비대위 체제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도부 전체가 5·31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마당에 지도부의 한 사람인 김근태 최고위원이 비상대책기구 의장직을 맡는 게 부적절하다는 비판론과 재야파의 좌장 격인 김 최고위원에 대한 당내 보수성향 의원들의 거부정서도 남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날 김혁규·조배숙 최고위원이 정동영 전 의장과 당내 원로 중진들의 ‘김근태 당의장 승계론’을 거부하고 사퇴를 강행한 것도 이런 정서와 무관하지 않다. 두 최고위원은 사퇴회견에서 “임시지도체제를 통해 원점에서 당이 나갈 방향을 찾아야 한다”며 김근태 승계론의 부당성을 지적했다. 특히 김혁규 최고위원은 “지도부 총사퇴 주장이 특정인에 대한 비토는 아니다”라면서도, “김근태 최고위원이 현재의 당을 이끌어 가기는 대단히 어렵지 않은가 생각한다”고 거부감을 드러냈다.
김혁규(오른쪽)·조배숙 열린우리당 최고위원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종찬 기자
열린우리당의 보수성향 의원 8명도 지난 3일 밤 모임을 열어 “현재의 당 상황을 볼 때 김근태 의원이 의장을 맡아도 당이 식물상태로 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며 ‘김근태 반대’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는 김 최고위원의 이념 성향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나왔다고 한다. 결국 7일 열릴 최고위원회의와 중앙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이들이 김근태 비상대책기구 의장 추대에 강하게 제동을 걸고 나올 경우 뜻밖의 혼돈이 빚어질 수도 있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당 일각에서는 원로인 김원기 국회의장, 조세형 상임고문, 문희상 의원 등을 비상대책기구 의장으로 세우는 대안이 거론되기도 한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