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의가 열린 9일 오후 서울 당산동 당사에서 당 사무처 직원이 심사자료를 가득 실은 수레를 끌고 회의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민주 공천심사위 “적어도 30%…” 물갈이 재확인
2~3명씩으로 1차 압축
현역 대부분 아직 ‘생존’
10일부터 2차 압축심사 통합민주당이 ‘공천 격전지’인 광주와 전남, 전북 지역의 후보자를 2~4배수로 압축하면서 호남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애초 6대 1이 넘었던 경쟁구도에서 1차 탈락자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호남 물갈이’가 얼마나 현실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위원장 박재승)는 주말 동안 호남권에 대한 1차 심사를 통해, 후보자가 4명 이하인 지역은 2명, 5~7명인 지역은 3명, 8명 이상인 지역은 4명으로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 신청자 절반 이상이 나가떨어진 셈이다. 공심위는 8~9일 1차 통과자를 대상으로 현역 의원의 교체 희망률과 후보자 선호도 등을 포함한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10일부터 2차 압축에 들어갈 예정이다. 박경철 공심위 홍보간사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지역은 가능하면 2차 압축을 거치지 않고 후보를 추천하고, 차이가 근소할 경우 다시 한 번 압축해 심사하거나 경선을 실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심위는 호남 지역에서 현역 의원을 30% 이상 교체하겠다는 원칙을 거듭 밝히고 있지만, 1차 압축 명단에는 현역 의원들이 대부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경철 간사는 “1차 압축 자격은 불량률,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합격률을 따진 것이고, 2차는 베스트 상품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30% 배제 명단을 따로 발표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2차 압축을 거쳐 ‘베스트’가 아닌 현역 의원들을 자연스럽게 걸러내겠다는 얘기다. 호남 지역 후보자들은 “올 것이 왔다”며 잔뜩 긴장하는 분위기다. 10명의 후보자가 난립했던 전북 한 지역구의 초선 의원은 “4명으로 압축됐다고 하는데, 각각 다른 명단이 5개나 나돌고 있다. 내 이름은 모두 들어있지만 확신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광주 지역의 한 예비후보는 “현역 의원들의 반발을 의식해 이들을 압축 명단에 대부분 포함시킨 것 같다”며 “현역 의원은 교체 희망률 조사 결과에 따라 30% 이상 탈락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압축 명단에서 제외된 후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북 지역의 한 공천신청자는 “말도 안 되는 구시대 인물들이 옛 민주당 출신이라는 이유로 여론조사 명단에 들어 있다. 이런 식으로 나눠먹기를 하면 호남 유권자들이 심판할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한 예비후보는 “지역신문 여론조사에서 최하위로 나온 후보가 여론조사 대상에 포함되는가 하면, 지자체 선거나 총선에 여러 번 출마했던 후보들은 대부분 제외됐다”며 “공심위의 후보 선정 기준이 뭔지 도저히 모르겠다”고 반발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박근혜계 “이명박계 더 큰 희생해야…” 압박
표적 물갈이 될라 전전긍긍
“엉뚱한 총탄 맞을수도…”
이명박계 일부도 불안감 영남권 공천을 앞둔 9일, 한나라당엔 긴장감이 감돌았다. 특히 핵심 의원들이 영남 지역에 몰려 있는 ‘박근혜계’는 이 지역 공천이 자신들을 겨냥한 ‘표적 물갈이’가 될까 전전긍긍하며 “‘이명박계’의 더 큰 희생이 없는 물갈이라면 두고 볼 수 없다”고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를 압박했다. 영남 지역 의원들은 통합민주당의 ‘박재승발 공천 쇄신’이 여론의 지지를 얻으면서, 한나라당에서도 영남권 현역 의원 교체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불안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지역의 한 재선 의원은 “공심위가 ‘박재승 그림자’에 놀라, 뭔가에 쫓기는 것처럼 현역 의원들을 대거 탈락시키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도맷금으로 ‘물갈이’ 대상으로 분류되는 건 억울하지만, 속내를 알 수 없는 처지로선 그저 떨고 있을 수밖에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부산 지역의 한 의원도 “공심위 분위기가 그때그때 표변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엉뚱한 총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걱정들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몇몇 의원들은 “국민의 마음을 얻지 못한 야당과, 정권을 되찾아온 여당이 공천에 들이대는 잣대가 똑같아야 된다는 건 말도 안 된다”며 ‘물갈이’ 자체에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표적 물갈이를 우려하는 박근혜계의 초조함은 더욱 심하다. 표적 공천이냐, 아니냐는 판단은 결국 계파 핵심 인사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다. 하지만 이미 이명박계의 핵심인 이상득 국회부의장(경북 포항남·울릉), 이방호 사무총장(경남 사천), 정종복 제1사무부총장(경북 경주) 등 6명은 단독 신청으로 공천이 확정됐다. 이명박계의 원로로 꼽히는 박희태 의원(경남 남해·하동)도 유력한 경쟁자가 산림청장에 임명돼 공천을 받은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지역 박근혜계의 핵심 가운데 공천이 확정된 이는 박 전 대표(대구 달성)와 정갑윤 의원(울산 중) 둘뿐이다. 박근혜계의 한 핵심 의원은 “자기들은 터럭 하나 뽑으면서 우리 수족을 잘라낸다면 이는 당을 깨자는 이야기”라며 “박 전 대표나 다른 의원들과 구체적으로 상의한 건 아니지만,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 오면 탈당도 ‘절대 안 된다’고만은 할 수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몇몇 박근혜계 의원들은 지역 보수단체가 자신의 공천을 지지한다는 보도자료를 내거나, 경쟁자의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등 ‘방어막’을 치기도 했다. ‘안정권’에 들지 못한 이명박계 의원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지난해 경선 초반부터 이명박계로 분류된 한 의원은 “친이’로 분류돼도 그 칼이 어디로 날아들지 모르니 괴롭긴 마찬가지”라며 “저쪽에선 정치 보복이라는 논리로 희생양을 요구하는데 경선에서 진 쪽이 이긴 쪽과 똑같은 지분을 요구하는 건 웃기는 일 아니냐”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현역 대부분 아직 ‘생존’
10일부터 2차 압축심사 통합민주당이 ‘공천 격전지’인 광주와 전남, 전북 지역의 후보자를 2~4배수로 압축하면서 호남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애초 6대 1이 넘었던 경쟁구도에서 1차 탈락자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호남 물갈이’가 얼마나 현실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위원장 박재승)는 주말 동안 호남권에 대한 1차 심사를 통해, 후보자가 4명 이하인 지역은 2명, 5~7명인 지역은 3명, 8명 이상인 지역은 4명으로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 신청자 절반 이상이 나가떨어진 셈이다. 공심위는 8~9일 1차 통과자를 대상으로 현역 의원의 교체 희망률과 후보자 선호도 등을 포함한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10일부터 2차 압축에 들어갈 예정이다. 박경철 공심위 홍보간사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지역은 가능하면 2차 압축을 거치지 않고 후보를 추천하고, 차이가 근소할 경우 다시 한 번 압축해 심사하거나 경선을 실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심위는 호남 지역에서 현역 의원을 30% 이상 교체하겠다는 원칙을 거듭 밝히고 있지만, 1차 압축 명단에는 현역 의원들이 대부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경철 간사는 “1차 압축 자격은 불량률,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합격률을 따진 것이고, 2차는 베스트 상품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30% 배제 명단을 따로 발표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2차 압축을 거쳐 ‘베스트’가 아닌 현역 의원들을 자연스럽게 걸러내겠다는 얘기다. 호남 지역 후보자들은 “올 것이 왔다”며 잔뜩 긴장하는 분위기다. 10명의 후보자가 난립했던 전북 한 지역구의 초선 의원은 “4명으로 압축됐다고 하는데, 각각 다른 명단이 5개나 나돌고 있다. 내 이름은 모두 들어있지만 확신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광주 지역의 한 예비후보는 “현역 의원들의 반발을 의식해 이들을 압축 명단에 대부분 포함시킨 것 같다”며 “현역 의원은 교체 희망률 조사 결과에 따라 30% 이상 탈락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압축 명단에서 제외된 후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북 지역의 한 공천신청자는 “말도 안 되는 구시대 인물들이 옛 민주당 출신이라는 이유로 여론조사 명단에 들어 있다. 이런 식으로 나눠먹기를 하면 호남 유권자들이 심판할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한 예비후보는 “지역신문 여론조사에서 최하위로 나온 후보가 여론조사 대상에 포함되는가 하면, 지자체 선거나 총선에 여러 번 출마했던 후보들은 대부분 제외됐다”며 “공심위의 후보 선정 기준이 뭔지 도저히 모르겠다”고 반발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한나라당 부평을 지역구에 공천신청을 했다 탈락한 진영광 당협위원장의 공천심사 재의요구서를 들고 당사를 방문한 한 당원이 9일 오후 당사를 나서는 안강민 공천심사위원장의 차를 가로막으려다 제지당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엉뚱한 총탄 맞을수도…”
이명박계 일부도 불안감 영남권 공천을 앞둔 9일, 한나라당엔 긴장감이 감돌았다. 특히 핵심 의원들이 영남 지역에 몰려 있는 ‘박근혜계’는 이 지역 공천이 자신들을 겨냥한 ‘표적 물갈이’가 될까 전전긍긍하며 “‘이명박계’의 더 큰 희생이 없는 물갈이라면 두고 볼 수 없다”고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를 압박했다. 영남 지역 의원들은 통합민주당의 ‘박재승발 공천 쇄신’이 여론의 지지를 얻으면서, 한나라당에서도 영남권 현역 의원 교체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불안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지역의 한 재선 의원은 “공심위가 ‘박재승 그림자’에 놀라, 뭔가에 쫓기는 것처럼 현역 의원들을 대거 탈락시키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도맷금으로 ‘물갈이’ 대상으로 분류되는 건 억울하지만, 속내를 알 수 없는 처지로선 그저 떨고 있을 수밖에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부산 지역의 한 의원도 “공심위 분위기가 그때그때 표변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엉뚱한 총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걱정들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몇몇 의원들은 “국민의 마음을 얻지 못한 야당과, 정권을 되찾아온 여당이 공천에 들이대는 잣대가 똑같아야 된다는 건 말도 안 된다”며 ‘물갈이’ 자체에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표적 물갈이를 우려하는 박근혜계의 초조함은 더욱 심하다. 표적 공천이냐, 아니냐는 판단은 결국 계파 핵심 인사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다. 하지만 이미 이명박계의 핵심인 이상득 국회부의장(경북 포항남·울릉), 이방호 사무총장(경남 사천), 정종복 제1사무부총장(경북 경주) 등 6명은 단독 신청으로 공천이 확정됐다. 이명박계의 원로로 꼽히는 박희태 의원(경남 남해·하동)도 유력한 경쟁자가 산림청장에 임명돼 공천을 받은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지역 박근혜계의 핵심 가운데 공천이 확정된 이는 박 전 대표(대구 달성)와 정갑윤 의원(울산 중) 둘뿐이다. 박근혜계의 한 핵심 의원은 “자기들은 터럭 하나 뽑으면서 우리 수족을 잘라낸다면 이는 당을 깨자는 이야기”라며 “박 전 대표나 다른 의원들과 구체적으로 상의한 건 아니지만,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 오면 탈당도 ‘절대 안 된다’고만은 할 수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몇몇 박근혜계 의원들은 지역 보수단체가 자신의 공천을 지지한다는 보도자료를 내거나, 경쟁자의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등 ‘방어막’을 치기도 했다. ‘안정권’에 들지 못한 이명박계 의원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지난해 경선 초반부터 이명박계로 분류된 한 의원은 “친이’로 분류돼도 그 칼이 어디로 날아들지 모르니 괴롭긴 마찬가지”라며 “저쪽에선 정치 보복이라는 논리로 희생양을 요구하는데 경선에서 진 쪽이 이긴 쪽과 똑같은 지분을 요구하는 건 웃기는 일 아니냐”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