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선의 이 직업, 이 학과
진로교육
이윤선의 이 직업, 이 학과 /
가족 해체 현상이 심화되고 자연스럽게 청소년 범죄가 늘어나면서 보호관찰관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보호관찰관은 형사행정학, 행형학, 범죄학, 사회사업학, 교육학, 심리학, 기타 보호관찰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국가직 공무원이다. 이들은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류 제15조에 따라 사회봉사명령 등을 받은 이들을 보호하고 관찰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위탁받은 사건에 대한 감독은 물론이고 사회의 체계적인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에 대해 지도와 감독을 하면서 이들이 건전하게 사회 복귀를 하고 또다시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돕는다.
이들은 보호관찰 대상자가 주거지에 상주하며 준수사항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 수시로 현지출장 등을 통해 지도·감독하고, 보호관찰 대상자의 안정된 사회복귀를 위해 숙소 알선, 직업훈련 알선 등 돕고 보살피는 일들을 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외부 출장이 잦은 편이며 건강한 체력이 필요하다. 또 아무래도 범죄인을 상대하기 때문에 예상하지 못한 상황을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위기 대처 능력도 갖춰야 한다.
이 일을 하는 데 적합한 학과는 교정보호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등이다. 이 학과를 나오면 보호관찰관이 될 수 있는 공무원 공개채용 시험에 유리하며, 사설학원을 통해 공무원 시험에 대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직공무원 채용시험과 특별채용시험을 통해 임용된다. 응시에 필요한 학력 및 경력 제한은 없다. 단, 국가공무원법에 따른 결격사유가 있어서는 안 된다. 신체조건도 남자는 키 165㎝, 몸무게 55㎏ 이상이어야 하며 여자는 키 154㎝, 몸무게 48㎏ 이상이어야 한다. 남자의 경우는 가슴둘레가 키의 2분의 1 이상이어야 하고, 남녀 두루 교정시력이 두 눈 모두 0.8 이상이어야 하고, 색각이나 색맹이 아니어야 한다는 조건도 있다.
보호관찰관은 법적 지식뿐 아니라 범죄인을 일상적으로 상대하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통찰력과 이해력을 갖춘 사람에게 적합하다. 또 저항감 없이 그들을 이끌 수 있는 대화능력도 필요하다. 범죄예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보호관찰 프로그램 기획력, 다른 사람을 훈련·발달시키는 활동 등에 흥미를 가진 사람이면 더욱 좋다.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센터 책임연구원
[보호관찰관] 사회봉사명령 받은 자 지도 행형학 등 지식 갖춘 공무원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