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하의 ‘창의적 아이가 미래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임선하의 ‘창의적 아이가 미래다’ /
13. 창의적 사고를 위한 경험활용법 ②
14. 창의적 사고를 위한 경험활용법 ③
15. 창의적 사고의 기술 익히기- 유추 능력 5. 매체를 통한 경험 속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 얻기: 다양한 매체에서 창의성과 관련한 내용을 흡수하는 경험 해보기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매체가 있다. 책, 신문, 잡지, 방송, 인터넷 등은 현대인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 이들 매체는 우리가 쉽게 겪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준다. 매체의 성격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매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경험의 폭과 깊이는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책은 정제된 콘텐츠를 모아서 정리해놓는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은 온갖 매체를 아우르는 ‘매체의 허브’라는 특징이 있다. 신문은 당대의 흐름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최신의 정확한 트렌드를 확인하기에 적합하다. 이처럼 매체의 성격과 특징을 정확히 알아야 이들을 활용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확보할 수 있다. [사례 1] 여러 매체에서 얻은 정보와 지식을 아이디어의 원천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매체에서 얻은 정보와 지식을 스크랩하거나 파일로 만드는 작업을 일상화해야 한다. 이 경우 기록 가능한 모든 방안을 활용하는 게 좋다. 매체를 활용하는 시점도 중요하다. 보통 긴장이 풀어지는 시간에 창의적인 생각이 많이 떠오른다고 한다. 긴장이 크면 클수록 다양한 사고를 하는 데 지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긴장이 이완되는 시간, 즉 잠자리에 들기 직전, 여행을 할 때, 화장실에 있을 때, 음악을 들으면서 편안히 쉬고 있을 때 책을 읽거나, 신문을 읽거나, 인터넷을 하는 게 좋다. 이럴 때 이전과는 다른 생각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다. 편안한 상황이기 때문에 보통 기록하기 힘들지만, 기록을 억지로라도 해야 좋은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꿀 수 있다. [사례 2] 대중매체의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창의적인 사고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의 대중매체들은 정치적 스펙트럼과 가치관에 따라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보여준다. 점점 세분화하는 매체들의 시각과 관점 가운데 자신이 동의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보고, 자신이 동의하지 못하는 이유를 정리해본다. 그렇게 하면 대중매체가 특정한 콘텐츠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 즉 창의적인 시각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매체가 다루는 내용이 자신의 문제일 경우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뜻밖에 많이 떠오른다. 예를 들어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동용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에 대해 비판하는 자기만의 보고서를 써볼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나의 육아나 교육방식에 대해서도 반성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다. 또 당장 나의 관심사가 아니더라도 여러 이슈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사례 3] 매체에 직접 참여하는 것도 창의적 사고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매체에 직접 참여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감나게 나타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로그램을 듣고 아이디어를 내어 엽서를 보내거나, 잡지사에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 보낸다. 글을 써 보내는 행위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만약 채택될 경우에는 창의적 사고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자존감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도전의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사례 4] 원자료(原資料)를 창의적으로 가공한다. 매체에 실린 다양한 자료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 가운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추출하는 경험을 해본다. 예를 들어 매체에 실린 광고 속에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뽑아낼 실마리를 찾아본다. 이상과 같은 다양하고 진지한 활동을 통해 우리의 경험은 더 다양하게 해석되고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창의성이 기존의 생각을 벗어나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이라면 이런 활동은 창의성의 증진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임선하 현대창의성연구소장 www.creman.net
14. 창의적 사고를 위한 경험활용법 ③
15. 창의적 사고의 기술 익히기- 유추 능력 5. 매체를 통한 경험 속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 얻기: 다양한 매체에서 창의성과 관련한 내용을 흡수하는 경험 해보기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매체가 있다. 책, 신문, 잡지, 방송, 인터넷 등은 현대인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 이들 매체는 우리가 쉽게 겪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준다. 매체의 성격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매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경험의 폭과 깊이는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책은 정제된 콘텐츠를 모아서 정리해놓는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은 온갖 매체를 아우르는 ‘매체의 허브’라는 특징이 있다. 신문은 당대의 흐름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최신의 정확한 트렌드를 확인하기에 적합하다. 이처럼 매체의 성격과 특징을 정확히 알아야 이들을 활용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확보할 수 있다. [사례 1] 여러 매체에서 얻은 정보와 지식을 아이디어의 원천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매체에서 얻은 정보와 지식을 스크랩하거나 파일로 만드는 작업을 일상화해야 한다. 이 경우 기록 가능한 모든 방안을 활용하는 게 좋다. 매체를 활용하는 시점도 중요하다. 보통 긴장이 풀어지는 시간에 창의적인 생각이 많이 떠오른다고 한다. 긴장이 크면 클수록 다양한 사고를 하는 데 지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긴장이 이완되는 시간, 즉 잠자리에 들기 직전, 여행을 할 때, 화장실에 있을 때, 음악을 들으면서 편안히 쉬고 있을 때 책을 읽거나, 신문을 읽거나, 인터넷을 하는 게 좋다. 이럴 때 이전과는 다른 생각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다. 편안한 상황이기 때문에 보통 기록하기 힘들지만, 기록을 억지로라도 해야 좋은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꿀 수 있다. [사례 2] 대중매체의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창의적인 사고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의 대중매체들은 정치적 스펙트럼과 가치관에 따라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보여준다. 점점 세분화하는 매체들의 시각과 관점 가운데 자신이 동의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보고, 자신이 동의하지 못하는 이유를 정리해본다. 그렇게 하면 대중매체가 특정한 콘텐츠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 즉 창의적인 시각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매체가 다루는 내용이 자신의 문제일 경우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뜻밖에 많이 떠오른다. 예를 들어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동용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에 대해 비판하는 자기만의 보고서를 써볼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나의 육아나 교육방식에 대해서도 반성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다. 또 당장 나의 관심사가 아니더라도 여러 이슈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사례 3] 매체에 직접 참여하는 것도 창의적 사고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매체에 직접 참여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감나게 나타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로그램을 듣고 아이디어를 내어 엽서를 보내거나, 잡지사에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 보낸다. 글을 써 보내는 행위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만약 채택될 경우에는 창의적 사고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자존감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도전의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사례 4] 원자료(原資料)를 창의적으로 가공한다. 매체에 실린 다양한 자료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 가운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추출하는 경험을 해본다. 예를 들어 매체에 실린 광고 속에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뽑아낼 실마리를 찾아본다. 이상과 같은 다양하고 진지한 활동을 통해 우리의 경험은 더 다양하게 해석되고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창의성이 기존의 생각을 벗어나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이라면 이런 활동은 창의성의 증진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임선하 현대창의성연구소장 www.creman.net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