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사법처리 유보등 요구
포스코 본사 건물을 8일째 점거해온 포항건설노조가 20일 정부의 강제해산 압박으로 한때 자진해산을 검토했다 번복하면서 경찰과의 대치를 계속했다.
노조는 이날 저녁 8시께 자진해산 방침을 정하고 본사 건물 5층에 쳐놓은 바리케이드를 걷어낸 뒤 1700여명의 노조원이 건물 밖으로 나올 계획이었으나, △농성 노조원 안전귀가 보장 및 사법처리 최소화 △교섭 완료 때까지 노조 지도부 18명에 대한 체포 유보 △민·형사상 손해배상 소송 자제 등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자진해산을 유보했다.
노조는 애초 경찰과 협상을 통해 이런 조건이 받아들여질 경우 자진해산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경찰이 대규모 경력을 본사 안에 투입하고 밖으로 나오는 일부 노조원들에 대한 신분 확인작업을 벌이자 자진해산을 철회하고 농성을 이어갔다.
이와 관련해 이지경 포항건설노조 위원장은 21일 오전 농성을 계속할지 여부에 대한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경찰은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내어 “원만한 사태 해결을 위해 자진해산을 유도했으나, 건설노조 지원집회가 갈수록 과격해지고 불법점거로 말미암은 국가적 손실과 시민의 피해를 좌시할 수 없어 강제진압 계획을 곧 단행키로 했다”며 사실상 강제진압을 최후통첩했다.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이병완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1일상황점검회의 브리핑을 통해 “노조가 노사협상의 직접 당사자가 아닌 포스코의 본사 건물을 폭력적 방식으로 점거한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이자 기업경영을 해치는 중대한 일”이라며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중하고 단호하게 대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혀 강제진압 방침을 뒷받침했다.
경찰은 이미 강제해산을 위한 도상훈련을 마쳤으며, 특공대원을 실은 대형 컨테이너 박스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포스코 건물 옥상을 통하거나 고층 유리창을 깨고 농성장으로 들어가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22일 포항에서 열릴 예정인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서의 충돌도 의식해 조기 강제진압 방침을 정하고, 자진해산을 최대한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박영률, 신승근 기자 ylpak@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