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경남도지사가 4대강 사업을 둘러싼 갈등을 풀기 위해 ‘낙동강사업 조정협의회’를 구성하자고 이재오 특임장관에게 제안했다. 이 장관은 협의회 구성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김 지사와 이 장관은 지난 4일 저녁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 인근 식당에서 함께 식사하며 4대강 사업의 해결 ...
부산 시민의 식수 취수원인 매리취수장에서 상류 2㎞ 지점인 경남 김해시 상동면 낙동강 둔치에서 불법매립된 폐기물 수십만~수백만t이 발견된 것(<한겨레> 10월1일치 1면)과 관련해, 부산·경남 시민환경단체들이 식수 오염을 막기 위한 안전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 준설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4대강 사업...
지난달 말 실시된 한 여론조사를 보면, 4대강 공사를 계획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25.4%에 불과했다. 전체의 68.3%는 전면 중단하거나 수정 진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런 압도적인 반대에도 정부는 4대강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공사 시작 열 달 만에 벌써 보 공사 공정률이 50%, 강바닥 준설은 30%를 넘어섰다. ...
정부가 지난해 11월 4대강 공사 실시설계안을 고시한 뒤 8월 말까지 불과 10개월여 동안 실시설계 변경이 무려 32차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 크기와 준설량도 12차례나 변경한 것으로 드러나, 부실계획에 따른 졸속 추진 의혹이 제기됐다. 또 사업확정 전 실시한 환경영향평가에서 준설량이 제대로 반영되지 ...
정부의 ‘4대강 사업’은 홍수 예방 기능에 한계가 있으며,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고 환경 관련 국책연구기관이 지적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홍희덕 민주노동당 의원은 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낙동강 4대강 사업 일부 구간에 산업폐기물이 대량 매립돼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매립된 산업폐기물은 콘크리트 덩어리를 비롯해 썩은 흙, 비닐 등 각종 폐기물이 뒤섞여 심한 악취가 나는 상태이며, 규모가 수십만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폐기물 매립이 확인된 경남 김해시 상동면·한림면 일대는 취수장에서 ...
4대강사업 국제 심포지엄 선진국에선 인위적인 제방쌓기와 직강화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강의 본래 모습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하천을 정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대한하천학회 주최로 열린 ‘4대강 사업 국제 심포지엄’에서 미국 버클리대 마티어스 콘돌프 교수...
정부와 한나라당이 추진해온 4대강 주변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애초 설명과 달리 수자원공사에 개발이익을 몰아주기 위한 것임이 정부 문건으로 확인됐다. 4대강 사업비 8조원을 부담하는 수공에 특혜를 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사실로 입증된 셈이다. 정부는 그동안 거짓말을 해온 데 대해 사과하고 법...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24일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4대강은 (이번 비에) 아무 문제가 없었고 통계상으로도 4대강 홍수는 3.6%에 불과하지만 도심지역 홍수 피해는 속수무책”이라며 “4대강 예산 10%만 절감하면 도심 하수배수관 보완, 저수펌프 설치 등 서민들 아픔이 가시는 설비를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전병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