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9일 대통령 소속 정책자문위원회인 ‘문화융성위원회’ 위원장에 김동호(76)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임명했다. 박 대통령은 김 위원장 외 영화배우 안성기, 소설가 권지예씨 등 18명의 민간위원도 함께 위촉했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민간위원 명단을 발표하며 “민간위원들은 문화...
국방부가 미국 정부에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연기를 요청한 것과 관련해 여야의 반응은 엇갈렸다. 새누리당은 ‘악화된 안보 환경을 고려해 전작권 전환 시기를 연기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야권은 ‘전작권 전환은 계획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정부에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민...
국방부가 2015년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재검토를 미국 정부에 요청하면서, 현 정부 안보 라인을 책임지고 있는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역학관계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현 정부 출범 전까지 남 원장은 대표적인 ‘전작권 전환 불가론자’였던 반면, 김 실장은 ‘2015년 환수 ...
민주당 원내대변인의 ‘귀태’ 발언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정국의 중심에 섰던 청와대가 주말을 넘기며 ‘관망 모드’로 돌아섰다. 발언 당사자인 홍익표 의원이 원내대변인직을 내놓았고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유감 표명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국회에서 여야가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수순이라며 발을 빼는 분위기다. 여...
박근혜 대통령이 원전 비리에 대한 ‘발본색원’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원전 안전에 대한 국제 규범과는 동떨어진 해법을 내놓아 논란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원전 업계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 체계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현재 원전 주무부처인 ...
원자력 관련 비리를 뿌리뽑겠다고 나선 정부가 정작 원자력 감시·규제를 위한 핵심 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위원장 이은철)를 구성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가 원안위원 후보를 추천받고도 검증 등을 이유로 임명을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위원회 구성 때 지켜야 할 법정 시한도 어...
중국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은 방중 이틀째인 28일 오후 중국 정부의 서열 2위 리커창 국무원 총리와 3위인 장더장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을 잇따라 만났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전날 ‘북한의 비핵화’를 강조했음에도 리 총리는 기존 입장대로 ‘한반도의 비핵화’를 언급함으로써 사실상 이견을 보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