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 고무재질…1mm마다 구분 감지 사람 살갗처럼 부드러우면서도 매우 민감한 촉각 능력을 지닌 센서가 개발됐다. ... 2005-01-30 19:44
서울대 김성훈 교수 연구팀 뛰어난 암 억제 기능을 지닌 단백질이 새로 발견됐다. 서울대 김성훈 교수(약학대) 연구팀... 2005-01-27 22:34
국방 분야 연구개발 국방 연구 분야에서 군 복무를 하는 이공계 박사장교가 생긴다. 과학기술부는 27일 “오명 과학기술 부총리 주재로 이날 열린 과학기술 관계장관 회의에서, 이공계 박사 인력을 장교로 ... 2005-01-27 21:34
정부·민간, 수백억∼수천억 지원 자기부상열차·한국형 고속열차·치매 치료약물 등이, 정부와 민간이 수백억~수천억원을 지원하는 ‘국가 대형 연구개발 실용화사업’의 예비과제로 선정됐다. 정부는 27일 서울... 2005-01-27 18:44
러플린 총장 “발전계획, 충분한 협의통해 결정” ‘사립화 구상’ 논란으로 몸살을 앓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의 발전방안이 현행 국립대 체제를 유지하면서 개혁을 모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갈 전망... 2005-01-26 17:55
물병자리 신성‥세계유일 현재 폭발 흔적을 간직한 별의 1천년 전 폭발 현상을 관측한 세계 유일의 기록이 에서 확인됐다. ... 2005-01-25 18:33
■ 삼국사기·고려사·조선왕조실록‥현대 천문학 이론 비교검증 태양계 도는 혜성 진화과정 규명에 도움"북반구, 봄보다 가을... 2005-01-25 17:51
“한국 첫 개방체제 실험실 만들터” 혈액응고를 막는 생체 고분자 물질을 개발해 1983년 미국에서 최초의 인공심장 이식수... 2005-01-25 17:34
서울대 황우석 교수가 개발한 ‘광우병 내성 복제소’가 정부의 국가 연구개발 실용화 사업 대상 선정에서 보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부 관계자는 23일 “유전자 변형식품(GMO)으로 분류되... 2005-01-23 21:20
합성제품 제조비 줄여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금 나노촉매의 작용 원리가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 미국 조지아공대 윤복원 박사(물리학)가 참여한 조지아공대와 독일 뮌헨공대 연... 2005-01-21 17:49
비만과 당뇨를 억제하는 데 쓸 수 있는 천연 후보물질이 발견됐다. 경상대 윤대진 교수(대학원 응용생물과학부)는 20일 “식물에서 뽑은 ‘오스모친’이라는 단백질이 동물 세포에선 비만과 당뇨를 억제하는 기... 2005-01-20 22:45
원자력연구소, 돌연변이 대장균 개발 기존 석유화학 제품과 달리 쉽게 분해돼 환경오염이 적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대량으로 만들어 배출하는 돌연변이 대장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 2005-01-20 19:04
두 발로 걷는 ‘휴보’‘NBH-1’ 잇달아 발표 “올해안 뛰기·짐들기·심부름 하기도 실현” 한국 로봇이 걷는다! 오준호 한... 2005-01-18 18:21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총동창회(회장 김호식)는 11일 에스케이텔레콤 윤송이(29) 상무 등 이 학교 출신 5명을 ‘2004 올... 2005-01-11 20:51
과학재단 보고서…총액은 6위 불구 “상대적 빈곤” 우리나라의 국가 총연구개발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나라들 가운데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나, 기초연구 투자 비율은 매우 낮아 ‘상대적 빈곤’을 겪고 있... 2005-01-11 2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