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곡동 땅 매각대금 관리 이병모씨
이후보 소유 건물 3곳 임대료 수금 맡아
이상은씨 해명 회견 불구 의문점 여전
이상은씨 해명 회견 불구 의문점 여전
이명박 한나라당 경선후보의 큰형 이상은씨가 14일 기자회견을 열어 전날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에 대해 해명했으나 의혹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가장 의문이 드는 대목은 검찰이 전날 “도곡동 부동산 매각대금을 관리해 온 ‘이아무개씨’가 출석을 않고 있다”며 익명으로 공개한 이병모씨의 실체다.
이상은씨의 변호인인 김용철 변호사는 이날 “(이상은씨 돈을 관리해 온 것으로 드러난) 이씨는 김재정씨가 운영하던 세진개발 직원이었다가 이상은씨는 영포빌딩 5층에, 김재정씨는 아래에 있어 자연스럽게 (이들의) 심부름을 하게 된 것”이라며, 이씨는 이상은씨의 돈을 출금만 하는 ‘단순 심부름꾼’이었다고 강조했다. 이병모씨 스스로도 “이상은 회장 말고 김재정씨 심부름도 했다”며 이를 뒷받침했다. 한마디로 이병모씨는 이명박 후보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씨는 이 후보가 사장으로 있는 대명기업의 직원으로서, 이 후보 소유 부동산 3곳의 임대료를 정기적으로 이 후보 쪽에 건네주는 사람이다. <한겨레> 취재 당시에도 이 후보 관련 부동산 소득, 재산신고, 세금 등과 관련해서는 창구 노릇을 전담했다. 지난달 3일에는 서초동 영포빌딩 지하 사무실에서 한나라당 경선 검증위원회에 낼 이 후보의 서류 작업을 했고, 사무실을 방문한 <한겨레> 기자에게도 이 사실을 인정했다.
이씨는 14일 통화에서는 “대명통상에서 관리하는 통장으로 임대료를 이 후보에게 넘긴다”면서도 “임대료 이외에는 이 후보의 금전을 관리하는 것은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이 후보가 사장으로 있는 대명기업의 직원인 이씨가, 김재정·이상은씨의 자금만 관리하고 이 후보의 자금은 관리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
또다른 의문은 왜 이씨가 2001년부터 2007년 사이에 매달 1천만~3천만원씩 모두 15억원을 인출하면서 모두 현금으로만 했느냐는 점이다. 이상은씨 쪽은 이날 회견에서 돈의 사용처에 대해 아들 사업자금과 생활비 등으로 썼다고 주장했지만 증거자료는 제시하지 못했다. 왜 수표가 아닌 현금 뭉칫돈을 인출했는지도 해명하지 못했다. 검찰 관계자는 “왜 현금이냐가 가장 의문이 가는 부분”이라며 “수표도 아니고 그 많은 돈을 현금으로 찾았는데, 굉장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요즘 그렇게 자주 거액의 현금을 찾으면 은행에서 바로 신고한다”고 의문을 나타냈다.
이상은씨 쪽은 해마다 10여 차례 외국으로 나간 출입국 기록을 제시하며 “현금 인출이 해외출장비 명목으로도 쓰였다”고 했지만, 검찰은 “출입국 기록도 이미 다 확인했다”며 “외국에 나가 있을 때 돈을 찾은 이유가 뭐냐”고 되물었다.
이병모씨 등이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는 이상은씨의 이날 주장을 두고서도 검찰은 “수사 초·중기까지는 협조했지만, 중요 대목 수사로 넘어간 후반기 2주 동안은 전혀 출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상은씨 쪽은 1995년 도곡동 땅 매각 당시에 포스코 쪽에서 다른 업체보다도 낮은 평당 1350만원의 가격을 제안했지만 한달 뒤에 지급한다는 호의적인 조건 때문에 매각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해명은 김만제 전 포철 회장이 이 후보의 요청에 따라 도곡동 땅을 시가보다 비싸게 사도록 가격까지 제시했다는 감사원 조사와 배치된다. 검찰이 최근 1년 동안 이상은씨의 통화 내역을 확인한 결과 돈을 인출한 이들과 이상은씨가 통화한 게 없다고 지적한 부분과 관련해, 이씨 쪽은 “검찰이 미처 모르는 휴대전화도 있다”고 말했지만 ‘숨겨진 또다른 휴대전화’의 번호와 사용 내역에 대해서는 더는 설명이 없었다. 땅 매각대금을 저리 투자상품에 장기간 넣어둔 점에 대해 이상은씨 쪽은 “김재정씨가 대신 관리해준 것이므로 (위험성이 없는) 원금보장형 상품에 투자했다”고 해명했으나, ‘복잡한 금융투자가 아닌 이상 이상은씨가 직접 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별다른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김남일 김기태 기자 namfic@hani.co.kr
이상은씨 쪽은 1995년 도곡동 땅 매각 당시에 포스코 쪽에서 다른 업체보다도 낮은 평당 1350만원의 가격을 제안했지만 한달 뒤에 지급한다는 호의적인 조건 때문에 매각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해명은 김만제 전 포철 회장이 이 후보의 요청에 따라 도곡동 땅을 시가보다 비싸게 사도록 가격까지 제시했다는 감사원 조사와 배치된다. 검찰이 최근 1년 동안 이상은씨의 통화 내역을 확인한 결과 돈을 인출한 이들과 이상은씨가 통화한 게 없다고 지적한 부분과 관련해, 이씨 쪽은 “검찰이 미처 모르는 휴대전화도 있다”고 말했지만 ‘숨겨진 또다른 휴대전화’의 번호와 사용 내역에 대해서는 더는 설명이 없었다. 땅 매각대금을 저리 투자상품에 장기간 넣어둔 점에 대해 이상은씨 쪽은 “김재정씨가 대신 관리해준 것이므로 (위험성이 없는) 원금보장형 상품에 투자했다”고 해명했으나, ‘복잡한 금융투자가 아닌 이상 이상은씨가 직접 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별다른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김남일 김기태 기자 namfic@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