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시아 지진해일 발생 이후 접수된 한국인 소재 미확인자가 지난 8일을 기점으로 100명 밑으로 떨어짐에 따라 정부가 11일 이들의 가족들을 상대로 디엔에이(DNA) 채취에 나서는 등 이들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소재 미확인자 수가 최근 두자릿수로 떨어진 뒤 감소세...
국내외 종교지도자들 부시에 메시지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와 유럽,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종교 지도자 및 시민사회와 학계, 재계 인사 117명이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는 편지를 11일 주한 미국대사관을 통해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보냈다. 이 편지에는 국내에서 강원용 목사와 김수환...
한국인 2명을 납치했다는 ‘2대 강의 국가(이라크를 상징)의 성전’ 단체의 주장이 나온 지 10일로 나흘째에 접어들었는데도 한국인 피랍 사실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규형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이라크 정부와 다국적군 사령부, 쿠르드 자치정부, 아랍 방송사 등을 통해 알틤?결과 지금까지 한국인 피랍 관련 자...
정부, 한-일 협정문서 공개대책…지원사업도 추진 정부가 1965년 한일 협정 문서 공개에 따른 후속대책으로 일제 강점 피해자 및 유족 지원사업과 함께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관을 세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이런 후속대책은 이달 중순께 발족할 한일 협정 문서공개 대책기획단에...
국민총소득 0.2% 수준까지 정부는 남아시아를 휩쓴 지진과 해일로 피해를 본 나라들에 대한 5천만달러 수준의 대규모 지원을 계기로,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정부개발원조(ODA) 규모를 지금보다 3배가량 늘려 국민총소득(GNI)의 0.2%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유강문 기자 mo...
이 총리 특별정상회의 파견 정부가 남아시아의 지진과 해일로 인한 피해 복구를 논의하기 위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이해찬 국무총리를 파견하기로 하는 등 국제사회의 지원 대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나섰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한국의 국제적 위상과 선행지수를 높이고, 아시아 국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