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 세계경제
미국 오하이오주의 한 업체에서 종업원의 몸에 신분확인용 전자칩을 이식하고, 보안기술 시험에 들어가 논란이 일고 있다고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가 13일 보도했다.
민간영상감시기술업체인 시티워처닷컴은 직원 2명의 오른쪽 상박부에 일종의 전자태그(RFID) 기능을 하는 전자칩을 이식해, 관공서나 경찰서 등 영상감시가 이뤄지고 있는 보안구역의 출입통제용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시험 중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전자태그는 물품에 칩을 부착해 관련 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을 일컫는다.
이 전자태그는 애완동물에 이식해 소유주 확인 등에 사용되거나 상품의 유통경로 추적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기술부문이지만 미국 내 직장에서 인체 이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사생활 침해 가능성 논란이 일 전망이다.
반대론자들은 인체에 영구적 전자태그가 이식되면 프라이버시 등 심각한 인권침해가 불가피하다고 비판하고 있으나 시티워처 쪽은 이 전자칩이 자체적으로 확인신호를 발신하는 방식이 아니라 카드리더와 유사한 판독장치를 통해서만 신분을 확인하도록 돼 있어 아이디(ID) 카드나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