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셨지요./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리 해도 나는 살 수 없어요./…/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400여년 전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남편를 그리...
경북 지역 유권자 두 명 가운데 한 명은 지난 6·2 지방선거 때 금품이 오고갔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경북선거관리위원회가 여론조사기관에 맡겨 지난 9월20일부터 보름 동안 경북 청도군과 봉화군 유권자 1004명을 면접조사한 결과를 보면, 55.9%가 ‘금품을 제공한 후보가 있었을 것으로...
22일 열린 대구시의회 본회의에서 장경훈(65·북구) 의원이 시정질의를 통해 삼성의 계열사인 제일모직이 구미로 옮겨간 뒤 20년 이상 공터로 남겨진 땅을 어떻게 처리하겠느냐며 대구시에 따졌다. 장 의원은 “도심에서 가까운 제일모직 터 때문에 도심 이미지가 나빠지고, 주변지역 발전에도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며 ...
경북도청이 4년 뒤 안동으로 옮겨간 뒤 남게 되는 노른자위인 경북도청 터의 용도를 놓고 대구시와 경북도가 정면 충돌하고 있다. 대구시는 15일 “성서 첨단산업지구와 첨단의료복합단지, 테크노폴리스 등 대구 일부 지역과 경산 일부 지역 등 24.139㎢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해달라고 이달 말 지식경제부에 신청할 ...
내년에 시행할 대구 지역 초·중·고교생들의 무상급식비율은 17.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이 편성한 내년도 예산안을 살펴보면, 시교육청이 218억원을 책정해 놨으며, 대구시가 처음으로 지원하는 28억원을 더하면 무상급식 예산은 모두 246억원이다. 시교육청은 이 예산으로 저소득...
‘안동서 아 고등 시케가, 서울에 대학 보내띠…조아라꼬 소문내 장개 보낼라칸이께네…저 두리 죽고 몬 산다는데 워에니껴…우짜께나 서울 사돈 보거든 모도 이런 오해 엄도록 하세이’ 11일 오후 안동시민회관에서 열리는 안동 사투리 경연대회에 참가하는 류응하(62)씨의 발언 원고다. 류씨와 서울에 사는 사돈이 서울...
대구시가 정원을 잘 꾸민 아파트 건설업체를 골라 해마다 주는 조경상 선정을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 시는 8일 “아파트 단지를 잘 꾸며 푸른 대구 가꾸기 사업에 기여한 대구 수성구 범어동 ‘위브 더 제니스’ 건설업체인 두산건설㈜ 김기동 대표에게 대상을 주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시는 “위브 더 제니스 아파...
‘인문학의 고장’을 꿈꾸는 인구 12만명의 경북 칠곡군이 5~6일 칠곡교육문화회관에서 인문학축제를 연다. 칠곡군과 인문학의 행복한 만남을 주제로 열리는 인문학포럼에는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이윤갑 계명대 교수, 전현수 경북대 교수 등이 각각 ‘호국·평화’, ‘천주교’, ‘인문학’을 주제로 강연을...
“시의회가 밀라노 프로젝트, 경제자유구역, 첨단의료복합단지, 스타기업, 대구에프시이 등 대형 사업을 철저히 점검해 결과를 시민들에게 알려 줘야 합니다.”(대구경실련 조광현 사무처장) 대구시의회는 2일 올해 행정사무감사와 내년도 예산 심의를 앞두고 시민단체 대표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
영남권 신공항을 경남 밀양에 유치하기 위해 대구·경북 지역 지도층 인사들이 나섰다. 종교계와 학계, 상공계 등을 대표하는 지역의 인사 100명은 1일 오후 대구 엑스코에서 영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와 조기 건설을 촉구하는 ‘100인 선언’을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함인석 경북대 총장이 낭독한 선언문에서 “신공항...
동학농민혁명 116돌 기념대회가 29~30일 초기 동학 포교의 중심지였던 경북 상주에서 열린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김영석)과 상주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회장 강효일)가 마련했으며, 6년 전 동학혁명 명예회복특별법이 만들어진 뒤 공주·서울·태안·장흥에 이어 다섯번째로, 영남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자전거의 고장’으로 유명한 경북 상주에서 자전거박물관이 27일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상주시가 사업비 97억원을 들여 상주시내 용마로에 터 2만8천여㎡,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2009년 3월에 착공해 1년6개월 만에 완공했다. 박물관에는 우리나라 최초, 세계 최초 자전거 모형, 이색 자전거 등 60여대가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