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複雜)은 홀로 문장에 쓰일 수 없는 말뿌리다. 문장에 쓰이려면 ‘복잡하다’, ‘복잡성’, ‘복잡스럽다’처럼 접미사와 결합하여 파생어가 되거나, ‘복잡골절’, ‘복잡반응’처럼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합성어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복잡’이 포함된 복합어로, ‘복잡괴기(複雜怪奇)하다’, ‘복잡다기(-多岐)하다’, ‘...
코리안과 아시안을 합친 신조어인 ‘코시안’은 이제는 대다수 사람들이 아는 말이 되었다. 우리 사회는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인 아내 사이, 또는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 사이의 자녀들을 코시안란 이름으로 구별짓기를 하고 있다. 외국인 신부들이 들어오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이들이 결혼해서 잘 정착해 사는 ...
인도말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인도말은 대부분 인도유럽어족에 들지만, 남부 인도에 널리 퍼져서 쓰이는 말들은 드라비다어족에 든다. 이 말겨레는 남부 인도와 스리랑카 쪽에서 많이 쓰며, 파키스탄에서도 쓰이는데, 사용 인구는 모두 1억4천만 정도다. 대표적인 말은 기원전부터 오랜 전통과 문학을 간직한 타밀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