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하천학회 토론회 ‘4대강 사업’이 한반도 하천의 고유 특성인 모래의 수질 정화 기능을 없애, 장기적으로 수질 악화와 지하수위 감소 등 하천 기능을 왜곡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하천학회가 11일 서울 중구 정동 환경재단에서 연 ‘우리 모래 강의 효능’ 토론회에서 오경섭 한국교원대 교수(지형학)...
정부가 4대강 사업을 벌이면서 공사 현장에 있던 지하수 관정 9364개 중 3461개를 적법한 폐공처리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관정을 제대로 막지 않으면 오염 물질이 이를 통해 곧바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현행 ‘지하수법’은 지하수 개발·이용을 종료한 뒤엔 반드시 원상 복구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도록 ...
정부가 지난해 ‘4대강 사업’을 수주한 건설사들에 1조3000억원의 선급금(예산조기집행)을 국고로 지급했지만, 이 가운데 약 71%에 달하는 9300억원이 계획대로 집행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건설노조는 8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
4대강 사업 건설현장에서 온갖 불법과 노동착취가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공사비를 부풀리는 것은 물론 불법 하청과 재하청을 거치면서 실제 노동자들이 받는 돈은 책정된 금액의 40%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입수한 설계내역서와 재하청 및 알선 계약서 등을 근거로 제시...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함안보를 완공해 물을 채우면 상류 쪽으로 13㎞ 떨어진 경남 의령군 지정면 ‘성산들’의 지하수위가 2m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함안보 영향권에 드는 대부분의 지역에도 비슷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농경지 등의 침수피해 대책 마련이 ...
최근 낙동강에서 4대강 사업 도중 준설선이 침몰해 기름이 유출되는 바람에 식수원 오염이 우려되는 사고가 발생하자 경남의 시민사회단체들이 경남도의회에 ‘낙동강사업 주민피해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을 다시 요구하고 나섰다. 경남의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는 25일 “낙동강은 1000만 영남시...
국제적인 고발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를 본떠 ‘4대강 사업’을 고발하는 ‘4대강리크스’(www.4riverleaks.com)가 25일 개설됐다. 김진애 민주당 의원이 만든 이 사이트는 시민과 전문가, 4대강 사업 관련 공무원과 공사현장 관계자 등한테서 제보를 받은 뒤 객관적 검증을 통해 4대강 파괴의 진실을 알리는 게 목적...
‘4대강 사업’ 반대운동이 ‘4대강 되찾기’ 운동으로 바뀐다. 4대강에 들어서는 보 16곳의 공정률이 70%에 이르는 등 사실상 사업이 완공 단계에 이르렀다는 판단에서다. 환경·시민단체가 모인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한 범국민대책위’와 천주교·기독교·불교·원불교 등 4대 종단, 운하반대전국교수모임, 민주당 등 야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