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 물리고 누군 괜찮고 영국 과학자들이 모기에 물리지 않게 하는 인체 고유의 분비물을 찾아냄에 따라 이를 이용한 천연 모기퇴치제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고 이 20일 보도했다. 영국 허트포드셔 소재 로덤스테드연구소의 존 피켓 교수팀은 같은 장소에 있는 사람들 중에도 유독 모기에 잘 물리는 사람이 있는가 ...
6천500만년 전 공룡의 대멸종 사건 이전에 이미 현대 조류들이 진화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진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공룡의 대멸종 이후 조류가 출현했다는 기존 빅뱅이론에 반론을 제기했다. 연구진은 지난 1992년 남극 서부 베가 아일랜드에서...
식물학자등 2월 베이징서 만나 방북 공동연구 추진 지난해 중단됐던 남북 과학자들의 교류 추진이 재개될 움직임을 보여 성사 가능성이 주목된다. 정혁 자생식물이용 기술개발사업단장(생명공학연구원 박사)은 18일 “남북 식물학자들의 교류 협의가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중국 베이징에서 다시 열려, 성사되면 5...
■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협동과정은 다음달 3일 오후 2시 서강대 가브리엘관에서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과학커뮤니케이션’ 주제의 심포지엄을 연다. 최영환 과학문화재단 이사장, 이덕환 서강대 교수, 이상목 전 과학기술부 공보관이 과학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현실, 발전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02)206...
남극해를 떠다니는 거대 빙산이 남극 빙하에 근접하면서 충돌 가능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길이가 160㎞에 달하고 전세계에 수개월간 공급할 수 있는 물을 갖고 있는 B15-A 빙산은 수개월 동안 미 맥머도 남극기지와 인접한 드리갈스키 빙설쪽으로 서서히 이동해왔으며 빙하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토성의 최대 위성 타이탄에서 탐사활동을 벌일 유럽우주국(ESA) 탐사선 호이겐스호가 타이탄 표면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독일 다름슈타트의 통제센터는 한국시간 15일 0시24분께 호이겐스호로부터 성공적으로 착륙이 이뤄졌음을 나타내는 첫 신호를 수신했다고 밝혔다. ESA도 이날 웹사이트를 통해 호이겐...
별들을 찾아내는 초음파 역할을 하는 스피처우주 망원경이 우주 먼지의 검은 구름 속에서 수많은 별이 막 생성되려는 곳을 발견했다고 천문학자들이 12일 밝혔다. 샌디에이고에서 개최 중인 미국천문학협회 회의에 참석 중인 미 천문학자들은스피처 적외선 망원경이 지구에서 5천400광년 떨어진 삼렬성운(三裂...
과학재단 보고서…총액은 6위 불구 “상대적 빈곤” 우리나라의 국가 총연구개발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나라들 가운데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나, 기초연구 투자 비율은 매우 낮아 ‘상대적 빈곤’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한국과학재단(이사장 권오갑)이 펴낸 〈기초연구 국제통계〉 보고서를 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