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일차적 의미는 ‘기압의 변화로 일어나는 대기의 흐름’이다. 바람은 이 뜻에서 벗어나, 다른 말을 덧붙여서 여러 가지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우리 언론에서는 한때 ‘바람’의 한자인 ‘風’(풍)으로 이런저런 부정적 냄새가 풍기는 말들을 많이 만들어 내었다. ‘북풍·세풍·병풍·총풍’ 등이 대표적인...
논리학·수학 등에서 사용되는 명제는 ‘논리적 판단 내용과 주장을 언어나 기호로 표시한 것’으로,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을 때 성립된다. 명제는 가정과 결론으로 구성되는데, “(어떤 것이) 고래라면, 포유동물이다”에서 ‘(어떤 것이) 고래라면’은 가정이고, ‘포유동물이다’는 결론이다. 명제에는 다시 역명제·이...
모내기 전 무논 가득 슬어 놓은 개구리 알 도롱뇽 알들 동그랗게 다닥다닥 붙어 있는 마알간 유리창 그 안에 새까아만 외눈동자 하나씩 눈 뜨고 있다 바깥을 내다보고 있다 한창이던 찔레꽃 하얗게 눈발 날리고 아득하다 달래간장에 밥 비벼 먹고 나온 심심한 동네 아이들 개구리 알 도롱뇽 알 쪼...
요즘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을 보면 여성 출연자의 신체 노출과 성적 표현이 과거보다 훨씬 자유로워진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공중파 방송에서도 초비키니 또는 속옷 차림과 성 행위를 모사한 춤 등이 자주 등장한다. 케이블 방송의 경우, 종교·교육 등 몇몇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 채널이 성 관련 내용을 노골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