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과학자들이 ‘다운증후군’을 가진 쥐를 만들어냈다. 영국 국립의학연구소는 쥐의 염색체를 조작해 인간에게 나타나는 다운증후군을 앓는 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등이 22일 보도했다. 연구진은 다운증후군과 관련된 인간 염색체 21번의 유전자 250개 가운데 90%를 쥐의 배아 줄기세포에 이식했고, 이 세포...
줄기세포치료 등 재생 의과학과 핵융합 등 21개 기술이 2015년 이후 우리나라를 세계 10위권의 선진국으로 이끌어갈 미래 국가유망기술로 선정됐다. 정부는 29일 오후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제18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미래 국가유망기술분야 선정 결과와 후속 조치계획’ 등 안건을 ...
영국 스코틀랜드의 과학자들이 16일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 줄기세포에서 순수 신경 줄기세포군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했다고 BBC방송 등이 보도했다. 에든버러의 과학자들은 영국에서 최초로 배아 줄기세포로 의학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승인을 처음 얻은 뒤, 두뇌와 중추신경계에 필수적인 신경세포들...
바이오 벤처 업체인 RNL생명과학은 버섯에서 에이즈 바이러스(HIV)와 헤르페스바이러스(HSV) 발생을 억제하는 신물질을 추출하는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우석 박사의 맞춤형 줄기세포 연구 성과에 이어 한국이 세계 최초로 개를 복제하는데 성공한데 또다시 충격을 받은 미국 사회가 종교및 윤리 논쟁, 무력감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는 세계 제일의 과학 기술을 자랑하고 있는 미국이 생명공학 분야에서 한국의 최근 업적들에도 불구, 집권층의 보수적 종교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8일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상공의 날씨가 좋지 않아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의 착륙시간을 적어도 24시간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디스커버리호는 현지시간으로 9일 오전 5시8분(한국시간 오후 6시8분) 착륙을 시도하며 플로리다주의 날씨가 계속 좋지 않을 경우 캘리포니...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케이프 커내버럴 상공에 구름이 낮게깔려 있어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착륙시간을 적어도 90분 가량 늦추도록 지시했다. 디스커버리호 승무원들은 이에따라 오전 6시21분(현지시간.한국시간 오후 7시21분) 두 번째 기회에 착륙을 시도할 계획이다. (휴스턴 우주센터 AP=연합...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의 귀환에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미항공우주국(NASA)은 10일 그동안 조용히 준비해 온 4번째 화성탐사선 `화성정찰궤도선'(Mars Reconnaissance Orbiter)을 발사한다.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등 두 개의 로봇 탐사선을 화성 표면에 착륙시킨 지 2년반 만에 발사되는 MRO...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가 직접 광우병 내성 소수정란을 한우 암소에 이식했다. 황 교수는 21일 오후 경기도 수원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에서 광우병 내성 소 수정란을 건강한 한우 암소 4마리에 각각 2개씩 8개를 이식했다. 일반 소 난자의 핵을 제거한 뒤 광우병 내성 소의 핵을 이식한 수정란을 한우에 ...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태양전지 가운데 세계최고 수준의 전력을 내는 전지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상용화될 경우 A4 용지 절반 크기의 태양전지를 얇은 판 형태로 옷에 달아 휴대전화 통화가 가능한 수준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오닉스소자팀은 20일...
어느 누구도 도청하거나 복사할 수 없는 완벽한 보안성을 갖춘 차세대 암호시스템인 `양자 암호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배재대 전산전자물리학과 김칠민(50) 교수는 `광자(: 빛의 입자)다발'의 편광을 불규칙하게 회전시켜서 이 광자다발에 정보신호를 넣어 보내는 방식의 `양자 암호화 방법'...
국내 로봇업계의 `맏형' 업체인 ㈜유진 로보틱스가 올해 세계 지능로봇 경진대회에서 자사 제품의 기술력을 주목받는 뜻밖의 행운을 안았다. 이번 대회의 구조 로봇 부문에서 2, 3, 5위를 차지한 연구팀이 모두 유진 로보틱스의 군사용 로봇 `롭해즈'를 본체로 삼아 출전모델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19일 과...
배아 줄기세포 연구의 권위자인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는 "내년 (경기 R&D센터내에) 준공될 바이오무균 미니돼지 사육시설은 연간 800만마리가 필요한 미래 바이오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는 15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이의동 광교테크노밸리내 바이오센터 기공식에 앞서 가진 관계자들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