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나라당은 2일 고위 당정회의를 열어 불법 폭력시위에 대해 형사 처벌뿐 아니라 민사상 책임도 묻기로 했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법질서를 준수하기 위해 불법 폭력 시위는 형사처벌 외에 민사상 책임도 같이 묻겠다”고 밝혔다. 최경환 수석정조위원장은 또한 “집회를 주도한 ...
북한이 영변 냉각탑 폭파 등 비핵화를 위한 가시적인 조처를 진척시켜 나갈수록, 한나라당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대북관계를 새로이 설정해야 할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으나, 북한과 신뢰를 회복할 계기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29일 북한의 핵불능화 작업에 대해 “북한이 완전히 핵폐기를 할지 6자회...
“전통적 보수층 결집 영향 신뢰 회복으로 보면 안돼” 여론조사 전문가들 진단 이명박 정부가 최근 촛불시위에 강경 대응 방침으로 전환한 데는 걷잡을 수 없이 추락하던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이제 상승 국면으로 진입했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대통령이 “뼈저린 반성을 하고 있다”...
‘쇠고기 민심 더 지켜본뒤…’ 천천히 가자는 의견 대세 정부가 ‘쇠고기 고시’를 강행하기로 하자, 한나라당 안에서조차 “너무 성급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과 정부는 25일 고위 당정회의를 열어, 이날 오후 농림수산식품부가 행정안전부에 장관 고시를 의뢰하고 26일 이를 관보에 게재하기...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기자회견에서 “민심과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확실하게 보여준 대목은 한반도 대운하 사업의 포기 선언이다. “국민이 반대한다면”이란 단서를 달긴 했지만, 대운하를 반대하는 민심을 받아들여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분명하게 항복선언을 했다. 이후 정부의 후속 조처도 발빠르게 나왔다....
‘정두언의 난’이 진압된 이후 처음 소집된 16일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선 처음부터 정 의원을 겨냥한 당 지도부의 압박 작전이 펼쳐졌다. 이날 의총에 참석한 정 의원은 끝까지 침묵을 지켜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강재섭 대표는 “초선시절부터 지금까지 의원총회에서 하는 발언들이 비공개일 경우엔 외부에는 잘 안 알...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수록 ‘박근혜 총리론’이 여권에서 더욱 힘을 얻고 있다. 한나라당이 ‘차떼기 정당’으로 찍혀 헤매던 4년 전, 박 전 대표의 눈물이 한나라당을 구해냈던 것처럼, 이번에는 박 전 대표가 이명박 대통령한테 ‘잔다르크’ 역할을 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 때문이다. 11일 청와대와 박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