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은 힘들다”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22일 발언을 두고 ‘종편 허용 개수 및 방식을 결정하는 정권 차원의 조율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방증한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최 위원장이 밝힌 사업자 선정 연기 사유는 “헌법재판소의 (한나라당 언론법 강행처리 논란) 판결 문제도...
고위공직자 위장전입을 바라보는 조선·중앙·동아의 시선이 돌변했다. 참여정부 때 엄격했던 위장전입 평가 잣대가 이명박 정부에선 상당히 너그러워졌다. <동아일보>의 태도 돌변이 가장 두드러진다. 동아는 16일치 사설(‘위장전입 소동 언제까지 거듭할 건가’)에서 “공직 후보자가 유능한 사람이라면 위장전...
정부가 하반기 언론법 공방의 최대 화약고가 될 미디어렙 개편 구도를 ‘1공영 다민영’ 체제로 사실상 확정했다. 지역·종교방송과 언론단체는 다수의 민영미디어렙 등장이 방송산업을 급격한 경쟁체제로 내몰아 취약매체 생존을 위협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17일 “방송광고판매제도 개...
정연주 전 사장 강제해임에 참여했던 강성철·이춘호 전 <한국방송>(KBS) 이사가 14일 <교육방송>(EBS) 새 이사로 선임됐다. 강 이사는 지난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신태섭 전 동의대 교수를 한국방송 이사직에서 해임한 뒤 보궐이사로 추천한 인물이다. 방통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교육방송 새 이사로...
방송문화진흥회가 시도하는 <문화방송>(MBC) 체제 개편의 공이 엄기영 사장과 문화방송 노조 손으로 넘어갔다. 방문진 이사회가 9일 “엄기영 사장의 엠비시 개선 노력을 지켜본 뒤 재신임을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다. 방문진이 노·사 협상 결과에 경영진 해임과 향후 문화방송 운명의 책임을 떠넘겨버린 꼴이다....
<한국방송>(KBS)이 수신료를 4500원 선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한국방송은 이날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연 ‘디지털 전환과 공적 서비스 확대를 위한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현실화에 관한 공청회’에서 수신료 대 광고 비율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토대로 4500원 선에서 수신료를 책정...
<한국방송>(KBS) 이사회가 4일 이병순 사장이 발의한 신임 부사장의 임명동의안을 부결했다. 이사회는 이날 이 사장의 긴급 요청으로 임시이사회를 열어 김영해 기술본부장의 부사장 임명동의 여부를 논의했으나, 절차상 흠결과 조직불안정 등을 이유로 이를 부결 처리했다. 이에 앞서 이 사장은 지난 2일 유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