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에스에프티에스)을 일으키는 진드기 바이러스에 감염돼 숨진 것으로 보이는 사망자 2명이 추가됐다. 이들이 확진되면 에스에프티에스로 사망한 환자는 4명으로 늘 전망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30일 이후 에스에프티에스에 걸린 것 같다며 신고가 들어온 의심 사례 47건 가운데 지...
진드기 바이러스에 감염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ㆍ에스에프티에스)에 걸렸다며 신고된 건수가 최근 한 달 동안 30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관련 학계는 사회적인 관심이 커지면서 신고가 많아진 것일 뿐 최근 해당 바이러스가 크게 늘거나 실제 감염이 급증한 것은 아니라고 분석한다. ...
간 등 소화기관에 사는 기생충에 감염된 국민이 130만여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생충을 가진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식습관 탓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해 전국 장내 기생충 감염실태조사(8차) 결과, 129만8000명이 간흡충 등 장내 기생충 1종 이상에 감염된 것으로 추...
학교생활을 하다 이른바 ‘왕따’와 같은 집단 괴롭힘 사건의 가해자가 피해자에 비해 2년 뒤 사이버 세상에서는 괴롭힘을 당하는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수진 연세대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2004년 만 10살 아동 1344명을 2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2004년 집단 괴롭힘 가해자...
앞으로 가벼운 정신질환으로 진단받거나 치료를 받은 사람은 정신질환자에서 제외된다. 이에 따라 운전면허 취득이나 민간보험 가입 등에서 사회적 차별을 받지 않을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가벼운 우울증, 수면장애 등 상담이나 약물치료로 충분히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신질환을 앓았거나, 치료를 받았어도 증...
미국 오리건과학대학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 연구팀이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2005~2006년 국내에서 논문 조작 논란이 크게 인 이른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식 체세포 복제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미국에서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환자 치료에 실제로 쓰이기에는 갈 길이 여...
소변을 보는 횟수와 양이 많아져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다뇨증으로 병원을 찾은 건강보험 환자 가운데 9살 이하 아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뇨증은 몸무게 70㎏인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2.8ℓ 이상의 소변을 보거나, 낮 동안 8번 이상 그리고 밤에 자다가 2번 이상 소변을 보거나, 자다가 자...
'살인 진드기'로 인한 감염 의심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등 의심환자가 5명에 이르면서 증상과 예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일 질병관리본부가 낸 자료를 보면 살인 진드기는 크기 3mm의 작은 소참진드기를 부르는 말로, 살인 진드기에 물리게 되면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에 걸릴 수 있다. 증상...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2월 26일 진주의료원 폐업 발표 뒤 두 달 동안 총 22명이 사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전원된 환자 및 입원 환자 가운데 사망자는 15명이라며 이는 보통 때보다 사망자 수가 오히려 적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보건의료노조가 직접 조사해 발표한 자료...
지난해 9월부터 8달가량 진주의료원에 입원해 있다가 폐업 발표 뒤 다른 병원으로 옮긴 루게릭병 환자가 여드레 만에 숨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써 2월26일 진주의료원 폐업 발표 뒤 경남도의 압박으로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긴 환자 가운데 모두 7명이 숨졌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진정제나 수면제로 쓰이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약들이 정신신경과질환보다는 소화기계 질환에서 처방이 더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약물의 처방 양상 및 안전성’ 보고서를 보면, 연구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7~2011년 벤조다이아제핀의 처방 자료를 분석...
알코올성 간 질환으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은 환자 가운데 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장년기의 과음이 간에 나쁜 영향을 미쳐 결국 50대가 돼서야 각종 알코올성 간 질환이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1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코올성 간 질환으로 총 14만7000...